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Ⅰ. 들어가며
Ⅱ. 즐거움은 어디에서 오는가?
Ⅲ. 과정(운동)과 활동
Ⅳ. NE 7권의 활동설
Ⅴ. 『형이상학』9권 6장 1048b18-35
Ⅵ. NE 10권의 활동설
Ⅶ. 과정의 즐거움 - 부수적 즐거움
Ⅷ.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활동과 즐거움 - 아리스토텔레스의 즐거움 이론 -
철학논집
2016 .02
아리스토텔레스의 ‘즐거움’에 관한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9 .04
<니코마코스윤리학> 제7권과 제10권에 나타난 즐거움 개념의 차이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美學(미학)
2023 .03
『필레보스』편에 나타난 거짓 즐거움과 참된 즐거움
철학사상
2016 .02
덕과 즐거움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철학사상
2019 .05
즐거움과 욕구 -『수사학』과『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즐거움 이해가 갖는 연속성 -
철학사상
2024 .08
『필레보스』에서 제시되는 참된 즐거움의 종류와 분류 기준
철학
2020 .08
플라톤 『필레보스』에서의 참된 즐거움과 좋은 삶
철학사상
2015 .11
활동을 완전하게 하는 즐거움-『니코마코스 윤리학』 10권의 즐거움 규정에 대한 재검토-
서양고전학연구
2025 .03
플라톤 『국가』에서 철학자의 순수한 즐거움
인간·환경·미래
2020 .04
토마스 아퀴나스의 ‘즐거움’에 관한 연구 : 『윤리학 주해』와 『신학대전』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8 .10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운동과 활동 구별
철학사상
2020 .08
먹는 것의 즐거움
월간에세이
2019 .08
즐거움과 따뜻함으로
월간에세이
2019 .07
함께 달리는 즐거움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0 .10
쾌락복원이론과 그 수사학적 적합성 :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I 11장의 쾌락 정의
철학연구
2017 .09
철학자는 왜 배움과 관련된 즐거움에 대해 열성적이어야 하는가? -플라톤 『파이돈』의 경우
철학연구
2020 .01
습관화와 즐거움
철학사상
2022 .11
『논어(論語)』에서 드러나는 ‘즐거움’의 평균적인 성격 해석
인문과 예술
2018 .01
『필레보스』의 예기 쾌락과 거짓 쾌락
철학연구
2015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