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들어가는 말
1. ‘즐거움은 활동을 완전하게 한다’는 논제와 기존 해석들
2. 새로운 해석의 모색
3. 활동에 수반되는 것으로서 활동을 완전하게 하는 즐거움의 정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니코마코스윤리학> 제7권과 제10권에 나타난 즐거움 개념의 차이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美學(미학)
2023 .03
활동과 즐거움 - 아리스토텔레스의 즐거움 이론 -
철학논집
2016 .02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과정, 활동, 그리고 즐거움
철학사상
2017 .11
아리스토텔레스의 ‘즐거움’에 관한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9 .04
『필레보스』편에 나타난 거짓 즐거움과 참된 즐거움
철학사상
2016 .02
즐거움과 욕구 -『수사학』과『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즐거움 이해가 갖는 연속성 -
철학사상
2024 .08
『필레보스』에서 제시되는 참된 즐거움의 종류와 분류 기준
철학
2020 .08
플라톤 『필레보스』에서의 참된 즐거움과 좋은 삶
철학사상
2015 .11
플라톤 『국가』에서 철학자의 순수한 즐거움
인간·환경·미래
2020 .04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운동과 활동 구별
철학사상
2020 .08
덕과 즐거움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철학사상
2019 .05
먹는 것의 즐거움
월간에세이
2019 .08
즐거움과 따뜻함으로
월간에세이
2019 .07
함께 달리는 즐거움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0 .10
철학자는 왜 배움과 관련된 즐거움에 대해 열성적이어야 하는가? -플라톤 『파이돈』의 경우
철학연구
2020 .01
『논어(論語)』에서 드러나는 ‘즐거움’의 평균적인 성격 해석
인문과 예술
2018 .01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행복과 최고선의 문제 : 인간의 완전성과 행복
철학
2017 .08
어정쩡한 내 직업의 즐거움
월간에세이
2020 .04
고전문화의 변화로서 닛사의 그레고리오스의 완전에 대한 이해: 지속적인 과정으로서 구원론적 삶(soteriological life as epektasis)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사학회지
2017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