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서론
II. 핵확장억지력에 대한 선행문헌 분석
III. 미국의 핵확장억지정책
IV. 연구설계
V. 분석 및 평가
VI. 결론: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미국의 한반도 확장억지는 약화되어 왔는가?: 확장억지의 진화와 신뢰성의 재평가
국가전략
2021 .08
The Dual Faces of U.S. Alliances : Deterrence Effects and Vulnerabilities in Northeast Asia
국제정치연구
2023 .12
미국의 확장억제 강화방안: 북한 전술핵 위협과 한미 통합 핵억제를 중심으로
국가안보와 전략
2023 .06
바이든 행정부의 NPR: 분석과 정책적 함의
통일정책연구
2023 .06
북핵 고도화 상황에서 미 확장억제의 이행 가능성 평가
국제관계연구
2017 .12
사이버 억지의 새로운 개념화: ‘한미 사이버 안보 동맹론’의 성찰적 맥락에서
국제정치논총
2023 .06
맞춤형 억제 신뢰성 제고: 한미의 능력과 의지를 중심으로
국제관계연구
2021 .06
미국의 한반도 확장억제 평가
국제관계연구
2020 .12
군사동맹의 사이버 영역 확장과 협력 과제 : 사이버 확장억지와 연합 사이버 작전시 주권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군사
2023 .12
Managing the Credibility of U.S. Extended Nuclear Deterrence: A Comparative Study of European NATO Allies and South Korea
유럽연구
2023 .02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비교: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의 적용
국가전략
2016 .01
한 · 미동맹이 남북한 라이벌리(rivalry)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숙적 이론과 동맹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2020 .08
한·미와 미·일의 동맹정체성: 인도-태평양 전략이라는 분수령
OUGHTOPIA
2021 .06
Extended-Deterrent Effect of Russi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U.S.-N. Korean Nuclear Negotiation
JIAS
2020 .01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와 대북 경제제재 심화에 따른 동북아 국제관계 변화
통일정책연구
2016 .01
한미동맹의 동맹 딜레마와 향후 한국의 한미동맹 전략
국가안보와 전략
2016 .01
핵확장억제의 역사와 쟁점 : 미국의 對유럽 확장억제 사례와 함의
한국군사
2024 .06
인도-태평양 지역 비핵국가들의 확장억제 연대구상 : 한국과 일본의 핵억제 정책 유사성과 연대 가능성을 중심으로
국가전략
2023 .05
Conditions for Achieving Strategic Integration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국제관계연구
2021 .12
사이버 테러리즘에 대한 억지력 모색
Crisisonomy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