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글요약
Ⅰ. 서론: 문제제기 - “철학은 자연과학과 무관한가?”
Ⅱ. 철학의 발생과 자연과학의 대상과 주제들에 관하여 : 자연철학에서 자연과학으로
Ⅲ. 자연과학과 형이상학: 형이상학은 자연과학 너머에 있는가?
Ⅳ. 자연과학의 발전과 철학 혹은 형이상학의 쇠퇴
Ⅴ. 철학의 과거 영광과 철학의 미래: 형이상학은 죽었는가?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철학의 철학’과 ‘엄밀한 학문으로서의 철학’ : 딜타이?후설 논쟁
현대유럽철학연구
2017 .07
과학적 개념의 실험철학: 더 자연화된 과학철학을 향하여
과학철학
2021 .01
위기 시대의 철학과 철학의 미래- 학문후속세대를 위한 하나의 제언 -
대동철학
2024 .09
자연과학과 형이상학 그리고 철학의 미래 : 형이상학은 죽었는가?
새한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11
위기의 철학 - 어디로 가려는가
철학연구
2022 .06
형이상학의 변형 - 강한 이성에서 약한 이성으로
철학연구
2022 .03
생명철학의 함의와 도가의 생명철학적 특성
현대유럽철학연구
2020 .01
코레트의 ‘지평으로서 형이상학’
철학연구
2022 .03
한국사상과 한국철학
대동철학
2020 .01
量子(Quantum)와 기(氣) 개념의 相同?相異에 관한 試論的 접근 -東과 西?과학과 철학, 학문융합의 입장에서-
탐라문화
2021 .01
실험철학과 직관
철학연구
2022 .02
쇼펜하우어의 과학과 형이상학
철학논총
2020 .01
동서 사유의 생명철학적 계기
동서인문학
2017 .06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양교육으로서 철학의 의의
철학탐구
2021 .11
Der Weg zur intelligiblen Welt bei Kant
인문연구
2015 .08
데이터 기반 사회의 과학기술철학
철학∙사상∙문화
2021 .11
우리 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대동철학
2016 .01
철학적 분석의 의미와 한계
철학
2017 .02
‘지혜론’으로서의 칸트 ‘형이상학’에 대한 고찰 - 칸트『형이상학의 진보』에서 ‘자유’, ‘신’, ‘영혼불멸’의 “실천적 실재성” 증명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2017 .03
나의 강의 철학 (Teaching Philosophy) - 나는 철학을 가르치면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
철학과 현실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