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는 말
2. 언어체계 속의 ‘마잉화’
3. 비언어체계 속의 ‘마잉화’
4. 마잉화의 의미 분석
5. 나오는 말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제주도 신화 속 꽃의 의미 및 상징성
온지논총
2016 .01
“上帝不响,像一切全由我定” ― ≪繁花≫释义
중국어문논총
2016 .04
‘인정투쟁’으로서의 ‘자기 서사’ -『격정시대』, 『범바위』, 『바람꽃』 분석을 통한 중국조선족 소설 연구방법론 모색-
한민족문화연구
2024 .09
중국 화훼 설화의 전승적 의미와 고전소설과의 교접 양상
온지논총
2024 .01
‘꽃 피우기’의 실제와 ‘꽃에게 묻기’의 대안적 가능성-구비 창세 신화의 ‘꽃 피우기’ 삽화 재고(再考)-
韓國古典硏究
2018 .01
이형기 문학의 총체적 연구를 위한 시론
동악어문학
2023 .06
파주 화석정의 역사와 문화사적 의미
한국한문학연구
2024 .04
‘꽃’의 은유 양상 - 관습성의 측면에서 -
한국사전학
2020 .05
애도와공포, 그사이 중국소수민족신화와 의례에 나타난 죽음과 치유
중국어문학논집
2023 .02
‘꽃의 신화학’ 서설 : 제주도 무속의 신화체계 탐색을 위한 시론
구비문학연구
2019 .01
중국 소수민족 신화 속 영웅의 형상 : 이족의 즈거아루(支格阿魯)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7 .12
이상정(李象靖)의 『퇴계서절요(退溪書節要)』 편집 방법과 목적
퇴계학논집
2019 .01
‘꽃 피우기 내기’로 구현되는 창세신화의 신화적 원리와 세계관념 : <천지왕 본풀이>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18 .01
〈중화문명탐원의신화학연구〉와비물질문화유산 : 윈난성 이족의 ‘지룽(祭竜)’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8 .08
『주역정의』의 유가적 특색
철학논총
2021 .04
서정주의 『꽃밭의 독백-娑蘇斷章』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해석 : 라깡의 개념을 중심으로
어문학
2017 .06
질서와 분배의 측면에서 義 개념의 연속성 고찰 ― 『논어』까지 텍스트를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21 .08
星湖 李瀷 역학 해석의 비판적 계승 -愼後聃의 상수역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민족문화
2023 .11
오필리아와 가상의 꽃
Shakespeare Review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