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제주도 신화 속 꽃의 의미 및 상징성
온지논총
2016 .01
“上帝不响,像一切全由我定” ― ≪繁花≫释义
중국어문논총
2016 .04
‘인정투쟁’으로서의 ‘자기 서사’ -『격정시대』, 『범바위』, 『바람꽃』 분석을 통한 중국조선족 소설 연구방법론 모색-
한민족문화연구
2024 .09
중국 화훼 설화의 전승적 의미와 고전소설과의 교접 양상
온지논총
2024 .01
이형기 문학의 총체적 연구를 위한 시론
동악어문학
2023 .06
‘꽃의 신화학’ 서설 : 제주도 무속의 신화체계 탐색을 위한 시론
구비문학연구
2019 .01
‘꽃’의 은유 양상 - 관습성의 측면에서 -
한국사전학
2020 .05
도안의 신화 상징과 문화기능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연구 : 중국 윈난 이족[彝族]의 ‘마잉화[馬櫻花]’ 도안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6 .06
‘꽃 피우기 내기’로 구현되는 창세신화의 신화적 원리와 세계관념 : <천지왕 본풀이>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18 .01
오필리아와 가상의 꽃
Shakespeare Review
2017 .06
서정주의 『꽃밭의 독백-娑蘇斷章』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해석 : 라깡의 개념을 중심으로
어문학
2017 .06
『만요슈』의 매화가 고찰
일어일문학연구
2020 .01
멕시코 이주 서사에 나타난 조선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형상화 연구
현대소설연구
2021 .06
중국신화를 둘러싼 한중 갈등 양상과 그 원인
중국소설논총
2023 .04
金在兢의 花史評林 연구
동방한문학
2023 .03
구비신화의 상황중심적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교감적 메시지로서의 기능
한국언어문학
2015 .01
Flowers Called Nowhere 장우철
PAPER
2021 .03
꽃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의 양상과 특징 : 1950년대 노래책 속 작품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0 .01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 삽화의 운용 양상과 의미-신격의 위계에 따른 동아시아권 삽화의 변용에 단서하여-
남도민속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