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머리말
2. 근대전환기 조선인의 세계 체험과 기록물들
3. 근대전환기 조선인의 세계 기행과 문명 담론
4. 맺음말 – 문화사적 의의와 함께
참고문헌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시대 기행일기 속 여행 목적
국어문학
2019 .07
고바야시 다키지 「전형기의 사람들」의 조선인
인문학연구
2019 .06
근대 문명 담론의 정치성 연구 : 일제강점 초기『매일신보』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7 .03
1920년대 문명·문화 개념의 교차
개념과 소통
2019 .01
Word2Vec 분석을 통한 근대 계몽기 잡지에서의 ‘문명(文明)’의 시기별 지형도
개념과 소통
2020 .01
코로나·팬데믹과 재일외국인의 사회적 영 : 재일동포사회를 중심으로
재외한인연구
2021 .10
제국의 시선들 사이에서 : 19세기 말 조선의 문명 담론과 근대성 문제에 대한 일고찰
비교문화연구
2016 .01
대한제국 전기 언론계의 문명관 연구
한국사상사학
2024 .04
1920년대 안재홍의 기행수필 연구
우리문학연구
2022 .07
동아시아공동체: 문명대안론- 문명적 정위를 중심으로 -
동서철학연구
2018 .01
자유주의 문명의 밖에서- 간디에서 이토를 넘어 롤즈까지 -
日本思想
2015 .01
조선시대 한문 기행일기의 현황과 가치
한국민족문화
2019 .05
<환구음초(環璆唫艸)>에 나타난 지식인의 근대 문명 인식과 특질
온지논총
2018 .01
‘게으르고 나태한’ 조선을 개조하기: 대한제국 시기 문명개화에 대한 일고찰
인문연구
2022 .06
현대문명의 위기와 후천개벽 사상의 포스트모던적 함의
仙道文化
2020 .01
선조들의 금강산 기행문학과 그 교육적 활용
어문논총
2019 .08
섬 여행을 기록한 조선시대 기행일기
도서문화
2019 .06
기행일기 정리의 현황과 과제
국학연구론총
2018 .01
해방기 김수영 시의 문명 비평적 역사성
한국근대문학연구
2016 .04
揚州藏經院 각판과 한국인 저술판에 관한 연구
중국어문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