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한글요약〉
Ⅰ. 서언
Ⅱ. 『金剛經宗通』의 구성과 인용문헌
Ⅲ. 『종통』에 나타난 수행과 깨침의 관계
Ⅳ. 『종통』과 보살의 四種心 수행
Ⅴ. 『종통』과 육바라밀의 교화행
Ⅵ. 결어
〈참고문헌〉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대승불교의 실천 덕목 재조명- 6바라밀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
2017 .01
후조당後彫堂 김부필金富弼의 삶과 시세계
국학연구
2016 .08
조계종 표준본, ?剛經에 나타난 신행체계
한국불교학
2021 .11
관계성에 근거한 불교의 인성교육적 의미 - 지혜와 자비의 두 측면을 중심으로
불교학보
2019 .09
『금강반야바라밀경』의 경명(經名)에 대한 소고(小考)
유학연구
2015 .05
13세기 전반기 간행한 『금강경』 사례들과 사상적 의미
석당논총
2015 .01
불교경전『금강경(金剛經)』,『천수경(千手經)』의한국어 번역에 나타난 직유 표현 연구
통번역교육연구
2015 .01
고봉원묘(高峰原妙)의 선사상 특질
동서철학연구
2016 .06
조선의 승과, 선시(選試) 혁파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2019 .01
통일에 대한 불교철학적 접근 : 대승기신론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윤리연구
2018 .01
조사선에서 깨침의 속성과 그 기능
불교학연구
2018 .01
전라도의 탄생과 그 의의
역사학연구
2016 .08
신지혜 시에 나타난 『금강경』의 생태사상
문학과환경
2018 .06
선불교(禪佛敎)와 평화의 두 원천: <금강경(金剛經)>을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2019 .01
19세기 진찬의례와 군문의 재정 활용
국학연구
2021 .07
백성욱의 『금강경』 독송 수행법 실천사례 연구
대각사상
2021 .12
현공 묵암선사의 『般若心經 講義』와 반야심경관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5 .06
敦煌 〈金剛般若波羅密經講經文〉에 대한 불교문학적 연구
중국어문논역총간
2025 .01
[자선작] 지 에이 피
시조시학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