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한글요약
Ⅰ. 서론 : 연구의 목적과 방법
Ⅱ. 「종체문」 초반 6구절에 대한 『기신론소』와 『대승기신론별기』의 구문 대조
Ⅲ. 제1구의 해석과 번역 : 포섭에 깃든 소통의 문제
Ⅳ. 제2구의 해석과 번역 : 소통의 근거인 연기법
Ⅴ. 결론 : 모순 통섭 논리의 요체인 연기법
참고문헌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원효의 『大乘起信論疏』에 나타난 닦음과 깨침에 대한 고찰
불교철학
2019 .01
대승기신론소/별기 의 구문대조에 따른 원효 깨달음관의 분석
대동철학
2023 .06
원효의 화쟁방법 -‘옳기도 그르기도 하다’는 경우를 중심으로-
불교연구
2021 .01
북미불교의 원효 인식과 이해 - 로버트 버스웰, 박성배, 찰스 뮐러, ?리차드 맥브라이드를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2016 .12
원효 화쟁론과 인성교육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3 .09
원효 이장의 은밀문에 나타난 대승 사상 고찰 ― 유식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불교철학
2023 .04
원효 화쟁사상의 현대적 의의 : 소통, 통합 그리고 평화
한국학논집
2017 .09
원효의 제7말나식관 - 원효 초기 저술에 나타난 제7말나식의 인식대상 논증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2015 .01
일심지원 혹은 일심이란 무엇인가? ― 분황 원효 깨침사상의 구심과 원심 ―
불교철학
2018 .04
원효와 화이트헤드사상의 접점에 관한 비교연구
코기토
2018 .06
원효의 ‘일심불성’론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
불교학보
2023 .07
원효 일심의 철학적 성찰 : 서양 철학의 일자와 비교하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8 .06
[작품론] 가연성의 꽃, 그 연기적인 출렁임
시조시학
2015 .06
한국 영화 속에 나타난 원효-『신라성사원효』와 『원효대사』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2018 .01
원효 초기 심식관의 사상적 배경과 회통 논리 - 유식과 유심 회통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
2022 .02
잠시, 연기를 연기하고
월간에세이
2019 .10
원효의 화쟁방법 연구 - ‘모두 옳다’고 판단한 경우를 중심으로 -
보조사상
2020 .01
돈황사본 P.3559의 대승심행론(大乘心行論)에 대한 고찰
한국불교학
2018 .01
연기와 공: 연기하는 것은 공하지만 공한 것이 반드시 연기하지는 않는다
철학사상
2023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