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동성혼의 헌법적 근거에 관한 고찰
Ⅲ. 동성애 및 동성혼에 관한 법적 태도
Ⅳ. 입법적 검토
Ⅴ.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인천지방법원 2004. 7. 23. 선고 2003드합292 판결
[1] 사실혼이 성립하기 위하여는, 주관적으로 당사자 사이에 혼인의 의사가 있고, 객관적으로 사회관념상 가족질서적인 면에서 부부공동생활을 인정할 만한 혼인생활의 실체가 있어야 하는 것인바, 이러한 혼인의 의사라 함은 사회적·실질적으로 부부로서의 공동생활을 영위할 의사를 말하고, 당사자 사이에 혼인의 의사가 있다고 함은 쌍방 간에 혼인 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0. 9. 10. 선고 89헌마82 전원재판부〔합헌〕
1. 가. 선량(善良)한 성도덕(性道德)과 일부일처주의(一夫一妻主義)·혼인제도(婚姻制度)의 유지(維持) 및 가족생활(家族生活)의 보장(保障)을 위하여서나 부부간(夫婦間)의 성적성실의무(性的誠實義務)의 수호(守護)를 위하여, 그리고 간통(姦通)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사회적(社會的) 해악(害惡)의 사전예방(事前豫防)을 위하여, 간통행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0. 4. 27. 선고 98헌가16,98헌마429(병합) 전원재판부〔위헌〕
1.자녀의 양육과 교육은 일차적으로 부모의 천부적인 권리인 동시에 부모에게 부과된 의무이기도 하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권`은 비록 헌법에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지는 아니하지만, 이는 모든 인간이 누리는 불가침의 인권으로서 혼인과 가족생활을 보장하는 헌법 제36조 제1항, 행복추구권을 보장하는 헌법 제10조 및 "국민의 자유와 권리는 헌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1. 9. 2.자 2009스117 전원합의체 결정
[1] [다수의견] 성전환수술에 의하여 출생 시의 성과 다른 반대의 성으로 성전환이 이미 이루어졌고, 정신과 등 의학적 측면에서도 이미 전환된 성으로 인식되고 있다면, 전환된 성으로 개인적 행동과 사회적 활동을 하는 데에까지 법이 관여할 방법은 없다. 그러나 성전환자가 혼인 중에 있거나 미성년자인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가족관계등록부에 기재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6. 22.자 2004스42 전원합의체 결정
[1] 종래에는 사람의 성을 성염색체와 이에 따른 생식기·성기 등 생물학적인 요소에 따라 결정하여 왔으나 근래에 와서는 생물학적인 요소뿐 아니라 개인이 스스로 인식하는 남성 또는 여성으로의 귀속감 및 개인이 남성 또는 여성으로서 적합하다고 사회적으로 승인된 행동·태도·성격적 특징 등의 성 역할을 수행하는 측면, 즉 정신적·사회적 요소들 역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1. 3. 31. 선고 2008헌가21 전원재판부
가. “기타 추행”이란, 계간에 이르지 아니한 동성애 성행위 등 객관적으로 일반인에게 혐오감을 일으키게 하고 선량한 성적 도덕관념에 반하는 성적 만족 행위로서 군이라는 공동사회의 건전한 생활과 군기를 침해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고,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행위자의 의사, 구체적 행위태양, 행위자들 사이의 관계, 그 행위가 공동생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5. 2. 26. 선고 2009헌바17,205,2010헌바194,2011헌바4,2012헌바57,255,411,2013헌바139,161,267,276,342,365,2014헌바53,464,2011헌가31,2014헌가4(병합) 전원재판부
재판관 박한철, 재판관 이진성, 재판관 김창종, 재판관 서기석, 재판관 조용호의 위헌의견 사회 구조 및 결혼과 성에 관한 국민의 의식이 변화되고, 성적 자기결정권을 보다 중요시하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간통행위를 국가가 형벌로 다스리는 것이 적정한지에 대해서는 이제 더 이상 국민의 인식이 일치한다고 보기 어렵고, 비록 비도덕적인 행위라 할지라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7. 7. 16. 선고 95헌가6내지13 全員裁判部
가. (1) 재판관 김용준, 재판관 김문희, 재판관 황도연, 재판관 신창언, 재판관 이영모의 단순위헌의견중국의 동성금혼 사상에서 유래하여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법제화되고 확립된 동성동본금혼제는 그 제도 생성 당시의 국가정책, 국민의식이나 윤리관 및 경제구조와 가족제도 등이 혼인제도에 반영된 것으로서, 충효정신을 기반으로 한 농경중심의 가부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우리나라에 있어서 동성혼의 법적 수용에 관한 고찰
원광법학
2019 .01
‘동성혼’ 도입을 위한 헌법개정의 위헌성 -미국 연방대법원 ‘동성혼’ 판례의 ‘인간존엄’ 해석의 분석-
홍익법학
2017 .01
동성혼의 합법화 여부와 입법모델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
2018 .08
동성혼에 대한 재고 ―현행법상 해석론을 중심으로―
가족법연구
2019 .01
헌법 제36조 제1항을 중심으로 한 혼인의 헌법적 보장에 대한 검토
헌법학연구
2018 .01
동성(同性)혼에 관한 법적 쟁점과 전망 ―미국에서의 동성혼 합법화 결정 이후의 논의를 포함하여―
가족법연구
2017 .01
사회통합을 위한 성소수자 보호 -독일법상 동성혼 보호를 중심으로 -
법과 정책연구
2024 .09
미국의 동성혼 관련 판결의 분석과 함의
가천법학
2016 .01
Protection for Marriage and the Family in a German Context ― Focusing on the Implications on the Discussion of Same-sex Marriage in South Korea ―
인권법평론
2023 .02
국제결혼중개계약과 혼인신고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양법학
2016 .08
Marriage Trends in Korea : Changing Composition of the Domestic Marriage Market and Growth in International Marriage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8 .05
혼인의사의 합치에 대한 재평가
가족법연구
2023 .03
동성애·동성혼의 헌법적 수용에 대한 비판
홍익법학
2017 .01
동성혼과 생활동반자법에 관한 연구- 동성생활동반자의 혼인신고 불수리처분에 대한 불복신청 사건 (서울서부지방법원 2014호파 1842)을 중심으로 -
원광법학
2016 .01
혼인의 실질적 요건을 흠결한 사실혼의 가족법상 보호에 관한 소고
경희법학
2016 .01
유럽에서의 동성혼인 및 동성결합에 관한 최근의 동향
가족법연구
2021 .01
台湾地区同性婚姻合法化动向 -以台湾司法院大法官释字第748号为中心-
국제법무
2017 .11
혼인신고에서의 쌍방출석주의와 공증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예외의 설정을 중심으로―
가족법연구
2017 .01
국제사법상 혼인성립과 그 흠결에 관한 준거법의 문제
국제법무
2024 .05
혼인무효?취소에 대한 검토와독일 민법이 주는 시사점
국제법무
2017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