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지식의 분화와 문종 개념의 필요성
2. 근대 초기 독본에 수록된 글들의 분류체계와 특성
3. 장르 개념의 도입에 따른 전통 문학 양식의 변용
4. 문종의 교육과 일반화의 논리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 전환기 문종(文種) 관념의 변천
작문연구
2021 .01
일본 독본에서의 문종(文種) 의식 형성 과정
동악어문학
2016 .05
근대적 문종 인식으로서의 ‘논설’의 성립 : 근대 초기 국어(조선어) 교과서 및 독본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2016 .08
시의 개념과 근대적 분화 과정 : 근대 국어 교과서 및 독본(1895~1925)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10
장르 중심 쓰기교육의 실행 현황과 과제: 초등 쓰기교육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2019 .01
장르 기반 쓰기 교육의 대안적 방법 탐색
작문연구
2017 .01
韓國語 쓰기 敎材의 장르 知識 敎育 內容 分析 ?說明文을 중심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2021 .01
The Effects of the Process-Genre Approach on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Writing Abilities
영어교과교육
2017 .01
An Examination of Written Genres in English Language Textbooks
Journal of Asia TEFL
2017 .01
문학장르의 체계와 역사성
외국문학연구
2017 .02
초․중등학교 쓰기교육에서 장르 문제- 장르의 규정 및 범위 등을 중심으로 -
작문연구
2019 .01
근대 독본이 문종(文種)을 교육하는 방식
동악어문학
2016 .05
초등학생을 위한 장르 지식의 활용 방향 탐색 - 내용 지식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2020 .01
근대 전환기 국어(조선어) 독본(讀本)과 근대적 문학 교육의 형성
문학교육학
2015 .01
한국어 교육을 위한 장르별 연어 사용 양상 연구 -용언의 인접 구성을 중심으로-
언어과학
2020 .01
장르 특성을 활용한 주장하는 글쓰기 교육 연구
어문론집
2020 .03
조선 초기 역사서와 『동국병감』의 편찬
韓國史學史學報
2015 .01
소프트웨어 공학적 관점에 기반한장르 분석 연구 - 아키텍처 패턴 기술 양식을 중심으로 -
작문연구
2023 .06
장르글쓰기가 중등 영어학습자의 쓰기에 미치는 영향
영어영문학21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