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시에 대한 전통적 인식과 새로운 시 형식의 출현
2. 근대지(知)의 보급과 독본에 수록된 ‘노래’들
3. 계몽 담론의 전유 양상과 공동체의 발견
4. 이념 너머의 시심(詩心), 그리고 근대적 시의 형성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 독본에서의 문종(文種) 의식 형성 과정
동악어문학
2016 .05
중학교 국어교과서 수록 현대소설과 정전의 의미 : 2012년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5 .06
근대 조선의 독본과 문종 개념의 인식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10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동시의 변화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
2019 .01
한국 근대 초기 소규모 자급자족형 교과서 생태계 고찰 ?중국 교과서 생태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문학
2017 .08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교육 내용 분석 : 중학교 교과서 읽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7 .03
고전문학 제재 수록의 이면과 그 배경의 탐색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문학교육학
2017 .01
독본 개념의 형성과 근대 이후 독본의 유형
어문학
2022 .03
국어 교과서의 다면적․중층적 속성에 대한 탐색에 근거한 국어과 교재 개발의 쟁점과 과제
한글
2022 .03
국어 교과에서 교과서의 활용 양상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20 .01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 제재 분석 - 2015 국어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국어문학
2019 .07
국어 교과서 현장적합성 연구학교의 의견과 교과서 반영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
2015 .01
일제강점기 교과서 비판 담론의 전개 양상과 그 의미 - 조선어독본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
2024 .02
고전시가 제재의 교과서 수용과 맥락에 대한 통시적 고찰 - 5차 교육과정 시기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2019 .11
중국 초등학교 어문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 분석
국어교육연구
2015 .10
Japanese Language Textbooks used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 Using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kugotokuhon and Shougakutokuhon
인문사회과학연구
2017 .01
포스트코로나시대의 교과서 개발과 적용의 지향
漢文敎育論集
2021 .01
재일(在日) 조선학교 국어 교과서 특성 연구 -6차 개편(2003년) 중급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024 .04
근대 전환기 국어(조선어) 독본(讀本)과 근대적 문학 교육의 형성
문학교육학
2015 .01
해방기 국정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의 상상
어문학
2017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