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며
2. 루오와 한국 문화예술계의 만남
3. 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근본 고찰-존재의 성화를 위하여
4. 김춘수와 루오, 그 만남의 구체적인 양상들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김춘수의 시와 “예수 체험”의 형상화
국어교육연구
2017 .02
한국문학이 그린 똥의 얼굴(2)- 『분례기』 재론-
사이間SAI
2022 .11
로마서 7:7-25: 성화의 방법인가 이유인가
개신논집
2017 .09
김춘수 초기 시에서 나타난 존재론적 사유의 흔적
한국시학연구
2018 .08
김춘수 ‘무의미시’의 제의(祭儀)적 성격 연구
한국시학연구
2016 .08
예수를 이해하는 시적 세계관의 두 양상: 박두진 시편과 김춘수 시편을 중심으로
문학과 종교
2018 .01
예수의 말씀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뜻과 선교의 방향
신학과 목회
2024 .07
김춘수의 대담 : 내면고백과 합리화의 유혹을 넘어서
어문학
2017 .12
김춘수 시론과 말라르메 시론의 비교 연구
우리문학연구
2015 .07
김춘수와 도스토예프스키 (2) : 시작(詩作), 그리고 용서의 사상
어문학
2016 .12
김현의 김춘수 시 비평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2021 .01
인공지능은 정말로 ‘인간의 형상’이 되어가고 있는가?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23 .10
구약성서 인간론 ―“마음(심장)”에 대하여
신학과 선교
2019 .01
운보 김기창의 『예수의 생애』 속 양반 예수에 반영된 18세기 조선의 남성중심주의와 엘리트주의: 마이클 박산달의 시대의 눈 이론의 관점에서
신학논단
2021 .06
김춘수 「꽃」의 인지시학적 연구 : 시의 구조와 의미의 가능성에 관하여
어문논총
2015 .06
존 칼빈과 존 웨슬리의성화론 비교 연구
ACTS 신학저널
2017 .01
장자철학에서 인간의 존재론적 지위
동서철학연구
2020 .01
복음의 증인됨으로서의 성화 : 덕 윤리적 모색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6 .10
서양회화 속에 나타난 예수 이미지 변화에 관한 소고(小考)
신학논단
2022 .09
『완전사회』가 제시하는 이상적 인간상과 그 한계 연구
비평문학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