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며 : 무의미 이후의 시적 모색
2. 자유와 해방을 추구하는 또 다른 방식
3. 극복을 위한 모색과 고뇌의 시적 형상화
4. 시작(詩作), 혹은 용서하면서 진실을 듣기
5. 나오며 : 허무주의와 그 극복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김춘수의 대담 : 내면고백과 합리화의 유혹을 넘어서
어문학
2017 .12
김춘수와 도스토예프스키 (1) -시집 『들림, 도스토예프스키』에 나타난 대화적 관계의 특성-
한중인문학연구
2015 .01
김춘수 ‘무의미시’의 제의(祭儀)적 성격 연구
한국시학연구
2016 .08
김춘수 초기 시에서 나타난 존재론적 사유의 흔적
한국시학연구
2018 .08
김춘수 시론과 말라르메 시론의 비교 연구
우리문학연구
2015 .07
김현의 김춘수 시 비평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2021 .01
김춘수 「꽃」의 인지시학적 연구 : 시의 구조와 의미의 가능성에 관하여
어문논총
2015 .06
김춘수 시 「꽃」의 정신분석적 이해 - J. 크리스테바의 기호 정신분석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
2015 .08
도스토예프스키극의 한국 공연사 연구
노어노문학
2016 .09
김춘수의 시 세계 - ‘느낌의 미학’을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22 .08
김춘수 시에 나타난 유목민족의 이미지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3
김수영과 한국전쟁 - “민간 억류인”이 달나라에서 살아남기
한국시학연구
2021 .08
시적 리듬과 이미지의 상관관계 - 김춘수의 ‘무의미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22 .08
김춘수의 시에 나타난 프랑스 초현실주의의 수용 연구
외국문학연구
2018 .08
해방기 시에 나타난 ‘장미’의 현대성 연구 : 김춘수와 박인환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15 .04
김춘수 후기시에 나타난 서정시의 변주 양상 -『들림, 도스토예프스키』를 중심으로-
구보학보
2019 .01
‘괄호’와 ‘쉼표’의 (무)의미 생성 연구—김춘수 시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2022 .09
이데아로서의 ‘꽃’ 그리고 ‘책’-김춘수 시론에서의 말라르메 시론의 전유-
우리문학연구
2020 .07
김춘수 『처용단장』 3부의 인물 연구
한국시학연구
2023 .05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난 ‘무한이미지’의 성격
어문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