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Ⅲ. `일대일로` 전략의 지정학: 대륙과 해양에의 동시 집중을 통한 서진(西進)
Ⅳ. 결론: 미중관계에의 함의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의 지정학과 주변외교: ‘일대일로’를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2016 .01
중국 동북지방의 ‘신지정학’: 미·중 전략경쟁과 지방의 전략적 지위 변화
현대중국연구
2024 .06
갈등과 협력의 동북아 지정학 - 동향과 과제 -
국토지리학회지
2016 .09
Toward a Geopolitics of Korean Tourism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22 .11
다중위기의 시대, 한국 지정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공간과 사회
2024 .03
포스트식민 한국에서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전유 - 초기 현대 지리학에서 ‘한국의 위치’의 사례 -
대한지리학회지
2022 .10
아래로부터의 지정학: “한국의 히로시마” 합천의 원폭피해자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2020 .04
Assessment of the economic backgrounds of the OBOR
한국무역학회 국제학술대회
2017 .07
Assessment of the Economic Background of the OBOR
Journal of International Logistics and Trade
2017 .08
China's Peripheral Strategies--Focus on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중국연구
2018 .01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지경학과 지정학의 동학
세계지역연구논총
2021 .09
한반도의 집중과 개입·확산의 글로벌 지정학
글로벌교육연구
2023 .06
화웨이 사태와 미중 기술패권 경쟁: 선도부문과 사이버 안보의 복합지정학
국제.지역연구
2019 .09
중등 교육에서 공간정보 역할의 필요성
한국지적학회지
2020 .01
접경지역의 도시지정학 : 경기도 파주시 대북전단살포 갈등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2018 .10
일대일로 전략의 전망과 한국의 물류분야 대응방안: 글로벌 가치사슬 관점
해운물류연구
2016 .01
1970년대 이란의 핵 개발 동인: 비판 지정학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2020 .12
탈냉전기 전후 중국의 지정학적 상상력과대(對)한반도 전략 변화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 21
2023 .06
Geopolitics Goes Back to the Future : Classical Geopolitics: A New Analytical Model By Phil Kelly
Global Asia
2016 .03
중국의 지정학적 담론과 북한의 외교적 영향력: 미중 전략 경쟁과 중소 분쟁 시기 비교
한국정치연구
2022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