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70년대 이란의 핵 개발 동인: 비판 지정학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2020 .12
Toward a Geopolitics of Korean Tourism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22 .11
중등 교육에서 공간정보 역할의 필요성
한국지적학회지
2020 .01
한국 지정학 코드의 공간성: 해외 순방의 지리
국토지리학회지
2017 .09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지정학적 담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6 .01
갈등과 협력의 동북아 지정학 - 동향과 과제 -
국토지리학회지
2016 .09
반일의 비판지정학: 유니클로 광고 사태와 불매운동
공간과 사회
2021 .09
지정학적 디스토피아: ‘신냉전’의 비판지정학적 독해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4 .06
탈냉전기 전후 중국의 지정학적 상상력과대(對)한반도 전략 변화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 21
2023 .06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지경학과 지정학의 동학
세계지역연구논총
2021 .09
한국 지정학의 탈식민화: ‘반도의 지정학’의 계보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3 .06
포스트식민 한국에서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전유 - 초기 현대 지리학에서 ‘한국의 위치’의 사례 -
대한지리학회지
2022 .10
신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동북아 영토갈등 문제
정치정보연구
2016 .02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시진핑 시기 중국 외교 :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2015 .06
러시아의 팽창정책과 우크라이나 사태의 원인: 지정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국가전략
2019 .01
아래로부터의 지정학: “한국의 히로시마” 합천의 원폭피해자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2020 .04
지정학적 중간국 인도네시아 외교전략: 세 번의 지정학적 단층대 충돌과 선택
국가전략
2021 .08
접경지역의 도시지정학 : 경기도 파주시 대북전단살포 갈등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2018 .10
한반도의 집중과 개입·확산의 글로벌 지정학
글로벌교육연구
2023 .06
지역발전의 지정학적 이론화: 울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022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