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Ⅰ. 덕 윤리의 일상언어적(日常言語的) 유산: 한국의 경우
Ⅱ. 현대사회가 왜 다시 덕 윤리(德倫理)를 요청하는가
Ⅲ. 덕 윤리의 자립적 재활(自立的 再活)을 위한 선결요건들
Ⅳ. 의무(義務)윤리의 대안(代案) 아닌 보완(補完)으로서의 덕 윤리
Ⅴ. 윤리교육(倫理敎育)의 새로운 모형과 수양론(修養論)의 문제
[부록] 의무의 윤리와 덕의 윤리 대비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왜 다시 덕윤리가 문제되는가? : 義務윤리와 德의 윤리가 相補하는 제3윤리의 모색
철학
2008 .05
응용윤리에 대한 덕윤리적 접근의 비판적 고찰
철학
2012 .11
의무 윤리학(Duty Ethics)에 있어서 덕과 덕 윤리
철학논총
2006 .04
덕 윤리에 대한 비판과 그 고유성에 대한 해명
인간·환경·미래
2010 .10
흄의 도덕론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
윤리연구
2020 .01
공학윤리 : 윤리이론의 선택의 문제에서 덕윤리
철학논총
2015 .04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덕의 개념
동서사상
2007 .02
도덕행위의 動機化와 修養論의 문제 : 의무와 덕이 상보하는 통합윤리의 모색
철학
2010 .02
도덕직관에 관한 덕윤리적 해명 가능성 : 트롤리 딜레마의 경우
철학논총
2017 .10
도덕·윤리교육의 정체성과 기존의 입장에 대한 비판(Ⅱ)
철학연구
2011 .06
도덕체계와 사회구조의 상관성 : 덕의 윤리와 의무 윤리의 사회적 기반
철학사상
2009 .05
덕윤리의 행위지침력
철학연구
2003 .09
선의지, 덕, 그리고 의지의 약함
윤리연구
2017 .01
『대주교에게 죽음이 오다』: 음식과 돌봄으로 살펴보는 덕 윤리(Virtue Ethics)
영어영문학연구
2020 .01
나는 왜 도덕적이어야만 하는가?
철학연구
1982 .12
윤리도덕이란 무엇인가? (1)
신학전망
1976 .06
윤리도덕이란 무엇인가? (Ⅲ)
신학전망
1976 .12
윤리도덕이란 무엇인가? (Ⅳ)
신학전망
1977 .06
윤리도덕이란 무엇인가?(Ⅱ)
신학전망
1976 .09
윤리도덕이란 무엇인가? (Ⅴ)
신학전망
1977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