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도덕의 正當化와 動機化 - 義務윤리와 德윤리의 상보
2. 무엇이 덕 윤리이며 왜 필요한가 - 有德한 성품과 幸福의 기술
3. 성품의 三分구조와 知性의 선도 - Aristotle의 主知主義的 덕윤리
4. 도(道)를 닦고 덕(德)을 쌓자 - 孔孟의 修養論的 덕윤리
5. 東西洋 덕윤리의 비교분석 - 德의 역설과 내재적 동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덕 윤리의 현대적 의의
인간·환경·미래
2010 .10
응용윤리에 대한 덕윤리적 접근의 비판적 고찰
철학
2012 .11
덕 윤리에 대한 비판과 그 고유성에 대한 해명
인간·환경·미래
2010 .10
의무 윤리학(Duty Ethics)에 있어서 덕과 덕 윤리
철학논총
2006 .04
공학윤리 : 윤리이론의 선택의 문제에서 덕윤리
철학논총
2015 .04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덕의 개념
동서사상
2007 .02
윤리도덕이란 무엇인가? (Ⅴ)
신학전망
1977 .09
윤리도덕이란 무엇인가? (Ⅲ)
신학전망
1976 .12
윤리도덕이란 무엇인가?(Ⅱ)
신학전망
1976 .09
윤리도덕이란 무엇인가? (Ⅳ)
신학전망
1977 .06
윤리도덕이란 무엇인가? (1)
신학전망
1976 .06
도덕행위의 動機化와 修養論의 문제 : 의무와 덕이 상보하는 통합윤리의 모색
철학
2010 .02
『대주교에게 죽음이 오다』: 음식과 돌봄으로 살펴보는 덕 윤리(Virtue Ethics)
영어영문학연구
2020 .01
윤리의 문제로서의 문화 : 문화윤리의 의미와 그 방향
철학
1999 .05
고등학교 도덕ㆍ윤리교육과 동양윤리
동양철학연구
2006 .01
윤리교육 -무엇을, 어떻게, 누가 가르치나
철학과 현실
2000 .09
새로운 윤리를 위한 두가지의 모색
철학
1979 .06
흄의 도덕론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
윤리연구
2020 .01
전통 윤리와 현대의 가족 윤리 문제
철학연구
1995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