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냉전과 반공주의의 확산
Ⅲ. 공산주의자 탄압의 양상
Ⅳ. 공산주의자 탄압의 정치사회적 역기능
Ⅴ.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냉전과 교육 : 1950/60년대 동독의 정치교육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2009 .08
영화를 통해 본 냉전 : 1950/60년대 동독 냉전 영화를 중심으로
역사학보
2008 .03
냉전의 예외와 규칙 : 냉전사를 통해 본 한국 현대사
역사비평
2015 .02
냉전기 서독 반공교육의 변화와 쟁점 :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반공교육과 다원주의적 관점
역사비평
2016 .02
독일 연방공화국 중등학교 역사교육에서의 전후 현대사 : 역사교과서에서의 동ㆍ서독 서술을 중심으로
역사학보
2010 .03
냉전기 동독의 대 서독 선전공세 - 나치 과거청산 문제를 중심으로 -
역사와경계
2005 .03
동ㆍ서독간의 인적 교류와 통일문제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
역사교육
2002 .09
남·북·러 3각 가스사업과 유럽의 교훈 : 소련-서독 간 가스교역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19 .12
독일 냉전사 연구의 관점과 주제들
역사비평
2015 .05
냉전의 다양한 모습
역사비평
2013 .11
The Political Economy of Security : South Korea in the Cold War System
Korea Journal
1998 .12
한국과 냉전 : 제 2냉전 성립기의 KAL기 격추사건과 그 종식기의 서울올림픽이 냉전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3 .06
한국전쟁이 유럽에 미친 영향 : 소련, 미국, 유럽 각국의 손익계산서
역사비평
2010 .05
한독 경제협력과 동백림 사건
역사비평
2017 .05
독일 통일 20년의 성과와 한계
역사와 담론
2009 .12
사상심리전의 텍스트로서 한국전쟁 : 자유세계로의 확산과 동아시아적 귀환
역사비평
2017 .02
국가적 통일인가, 서방측으로의 통합인가? : 독일연방공화국(구 서독)의 정부수립과 아데나워 정부의 독일정책결정에 관한 문제
역사교육
2004 .09
베트남전쟁과 사회주의진영, 그리고 냉전체제
역사와경계
2010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