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유진영 (인하대)
저널정보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역사비평 2016년 봄호(통권 114호)
발행연도
2016.2
수록면
312 - 334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a result of World War II, West and East Germany were established in 1949. West Germany was divided and occupied by the three Western allies while the Soviet Union occupied East Germany.
From the beginning, West Germany was opposed to totalitarianism and embraced anti-Nazism and anti-communism. For this reason, anti-communism became a fundamental element for integrat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self-understanding in the West German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erred anti-communist education of the West in terms of what was done in the schools in that regard, and analyzed the images of communism that appeared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in West Germany, where Social studies class was devoted to political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find the important issues addressed by the anti-communism education, and the changes as well as pluralistic perspectives that occurred in the content and image of education in the 1960s, 1970s, 1980s, and until the unification in 1990 that could be considered remarkable.

목차

1. 서론
2. 냉전기 반공교육(1960년대)
3. 1970년대 이후 다원주의의 도입
4. 통일을 준비하는 사회과 교육
5.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반공 이미지와 다원주의적 관점
6.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905-002678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