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정치적 체제통합
3. 경제적ㆍ사회적 통합
4. 문화적-정신적 통합
5. 독일통일에 대한 평가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독일 연방공화국 중등학교 역사교육에서의 전후 현대사 : 역사교과서에서의 동ㆍ서독 서술을 중심으로
역사학보
2010 .03
독일통일과정을 통해서 본 한반도 통일과 사회통합을 위한 교회의 역할 모색
신학과 목회
2016 .05
The Korean-German Economic Relations
Korea Journal
1983 .11
동ㆍ서독간의 인적 교류와 통일문제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
역사교육
2002 .09
The Development of German-Korean Relations up to 1910
Korea Journal
1979 .06
[독일] ‘독일모델’ 배우기의 너머
역사학보
2017 .09
추방, 탈출, 난민 : 독일문제와 이주 (1945-1998)
역사와 세계
2010 .12
한독 경제협력과 동백림 사건
역사비평
2017 .05
Extractions and Case in German
언어
1997 .03
독일 근현대사 해석틀의 변화
인문논총
2005 .01
통일 후 사회통합 기반 구축을 위한 인구 및 경제정책의 방향 : 통일독일의 경험을 통한 비교사적 관점에서
통일인문학
2016 .06
광복 · 분단 70년에 모색하는 한반도 통일
신학과 목회
2015 .11
서독 정부의 대한 기술원조 - 호만애암/한독고등기술학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역사비평
2019 .05
[독일] ‘트랜스내셔널 전환’과 독일사
역사학보
2011 .09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German Relations
Korea Journal
1983 .11
Korean and Indo-German : Earlier German Theories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 Korean Language
Korea Journal
1983 .11
`독일문제`는 해결되었는가? : `독일문제`의 과거와 현재
역사와 세계
2016 .12
English Influence on the German Language
언어
1982 .06
Unterrichtssprache im DaF-Unterrichtt
인문학연구
2015 .06
재독한인들의 한국인으로서의 인식문제와 정체성 변천과정
한국사연구
201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