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한국사회과학연구 사회과학논총 제25집 1호
발행연도
2006.6
수록면
23 - 41 (1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sociations between welfare-to-work policies and social citizenship among welfare recipients focusing on US 1996 Welfare Refor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current re-calibration of welfare states fueled by the ideologies of new right and investigates the importance and roles of welfare-to-work policies in the course of restructuring welfare states.
Then, this study reviews the main contents of US Welfare Reform and analyzes the concrete rules of welfare-to-work in terms of its compulsiveness, to understand whether and how welfare-to-work policies erode the social citizenship of welfare recipients who should follow the strict rules of work participations.
Findings show that the social citizenship of the most disadvantaged in US in term of earning power is severely eroded by US welfare reform which enacts very punitive welfare-to-work policies. For them, welfare entitlements is not associated with their citizenship status, but with the outcome of contract that they cannot refuse to sign for their economic survival.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복지국가 재편과 근로연계복지의 강화
Ⅲ. 근로연계복지제도의 개념과 현황: 미국을 중심으로
Ⅳ. 근로연계복지와 사회권의 침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305-019544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