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문제 제기
2. 자연의 바다와 재현의 바다
3. 「심청전」의 바다와 상징성
4. 「큰 도둑 거믄이」의 바다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소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At Sea
Korea Journal
1986 .06
현대시에 나타난 '바다이미지' 고찰
우리문학연구
2006 .08
한국 해양사의 전환 : ‘海洋의시대’에서 ‘海禁의 시대’로
도서문화
2002 .08
요한계시록의 바다의 등장(4:6)과 전개(15:2)와 퇴장(21:1) 과정에 나타난 신학적 의의와 새 출애굽
성경원문연구
2019 .04
세계 고지도의 동해 해역에 나타난 지명 병기의 사례 연구
영토해양연구
2011 .12
한국 ‘바다시’와 그 유형
비평문학
2006 .08
한국 고전문학과 바다에 대한 인식
韓國古典硏究
2012 .01
‘바다’를 통한 신화적 공간 기획과 문화 정체성 구축 욕망 연구 : 최남선의 <바다와 조선민족>을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4 .04
남중국해 해항도시의 「일본신질서」해역으로의 편입과 그 함의 : 하이난과 베트남을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2 .10
고대~고려시대의 海路와 섬
대구사학
2013 .01
『고등학교 한국사』 敎科書와 바다 이름 標記의 問題
경주사학
2015 .12
미국한인들의 ‘동해표기’ 풀뿌리 민주주의 운동
재외한인연구
2019 .01
역사를 통해 본 한국인들 생활 속의 東海
역사와실학
2011 .08
Fundamental Research on Spring Season Daytime Sea Fog Detection Using MODIS in the Yellow Sea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16 .01
바다로 보는 한국사
역사학보
2016 .12
The Dual-gendered Sea: A Mechanism to Defense Masculinity in The Old Man and the Sea and Islands in the Stream
영어영문학연구
2017 .01
[논문] 김기림의 시와 수필에 나타난 '바다' 이미지 고찰: 작가의 도시체험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02 .10
朝鮮 文人들이 바다를 통해 본 것들 -‘觀海’를 제재로 한 한문 산문에 대한 考察-
漢文古典硏究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