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개요
Ⅰ. 머리말
Ⅱ. 검인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문제점
Ⅲ. 한국사 교과서의 바다 표기 문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 동아시아의 ‘해양’ 관련 논의에 대한 고찰- 인식, 학문, 담론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21 .12
‘바다에서 보는 역사’와 8~13세기 ‘해양권역’의 형성
역사와경계
2015 .09
An Identity Aspect to the "Wars" of Maps in East Asia: Focusing on the East Sea/Sea of Japan Name Debate
Korea Observer
2017 .03
미국한인들의 ‘동해표기’ 풀뿌리 민주주의 운동
재외한인연구
2019 .01
한·중 해양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용봉인문논총
2019 .01
황국신민 양성을 위한 역사교육― 1944년 조선총독부편찬 『初等國史』를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2017 .01
요한계시록의 바다의 등장(4:6)과 전개(15:2)와 퇴장(21:1) 과정에 나타난 신학적 의의와 새 출애굽
성경원문연구
2019 .04
최근 대만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인식 변화 - 101과강 『선수역사(選修歷史)』와 108과강 『역사(歷史)2』 비교 분석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河殤’에서 ‘走向海洋’으로- 중국학계의 근대해양사 연구현황
중국사연구
2015 .01
제1차 교육과정기 발행 『중등국사』 (역사교육연구회 엮음) 교과서의 특성과 의의
역사교육
2018 .06
환동해 국제관계의 역사와 지정학적 맥락
독도연구
2018 .06
중국의 해양영토인식과 국정 역사교과서의 서술 변화
사림
2019 .01
역사 교육의 ‘문화적 전환’과 고등학교 『한국사』의 내용 구성 검토
한국사연구
2016 .03
바다로 보는 한국사
역사학보
2016 .12
천금성 문학을 통해 본 한국 원양어업의 발전 - 소설집 『허무의 바다』를 중심으로 -
도서문화
2021 .06
일제강점기 朝鮮史學會의 활동과 근대사 인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5 .01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역사교육 - 환경사와 역사교육의 연대를 위한 제언
역사비평
2022 .02
1960년~1970년대 한국사 개설서의 조선시대 상업사 서술과 상업사 연구
한국사연구
2019 .03
제3차 교육과정 국정 고등국사의 편찬과 중세사 서술 비판
역사와교육
2018 .01
World history가 아닌 Global history
동서인문
202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