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시작하며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Ⅲ. 지역 ‘위안부’ 운동의 인큐베이터(incubator), 〈대구여성회〉
Ⅳ. 기억 연대를 위한 공동거주(cohabitation), 〈포항여성회〉
Ⅴ.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경남지역 일본군‘위안부’ 운동과 기억의 연대
한국여성학
2022 .12
지역여성운동의 역사 속에 나타난 젠더와 로컬리티: 전주지역 공부공동체 〈여성다시읽기〉의 매체비평 문화운동과 ‘영페미니즘’
한국여성학
2023 .12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페미니즘과 내셔널리즘의 역학관계 - 트랜스내셔널 페미니즘의 구축과 한일 여성연대 가능성
아시아여성연구
2020 .04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설립 30년을 회고하며 : 그 설립, 활동, 성과를 중심으로
젠더와사회
2018 .12
여성정치세력화 운동의 딜레마와 이중전략
젠더와 문화
2017 .12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강제동원과 성노예 - 공창제 정쟁과 역사적 상상력의 빈곤
페미니즘 연구
2019 .10
외상의 질곡에서 그녀들은 어떻게 성장해 왔는가? :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 노인의 삶의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3 .02
일본군 ‘위안부’운동과 시인(recognition)의 정치 : 한국의 사회적 기억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8 .09
지역 여성 활동가들의 행위력이 소환한 미생(未生)의 `여성학`과 지역현장여성주의의 동학 : 광주지역 차세대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5 .12
일본군 ‘위안부’ 영화의 자매애와 증언전수 가능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7 .08
중노년 여성주의 활동가의 리더십과 노인여성운동의 방향
젠더와 문화
2019 .06
[농림축산식품부] 친환경 시설하우스용 전기구동 이식기 개발 최종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2017 .01
80년대 후반~90년대 중반 부산지역 여성노동자운동 (부산여성노동자회를 중심으로)
젠더와사회
2018 .12
김학순 공개증언과 일본의 시민운동: 말하는 자와 듣는 자가 만들어낸 파장(波長)
젠더와 문화
2022 .06
비례대표 여성 국회의원에 대한 기대역할과 여성정치세력화 ─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혹은 기대할 수 없는 것을 기대한
페미니즘 연구
2021 .10
북한 여성노동력의 경제적 의미와 인권: 사회적 참여정책과 영향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2020 .08
만주 지역의 일본군 위안소 설치와 조선인 ‘위안부’
아시아여성연구
2016 .05
여성단체 교육프로그램의 특성과 전략적 고민
한국여성학
2016 .03
경남일본군‘위안부’ 피해자지원활동가들의 기억과 구술을 통해 본 피해자들의 내면과 사회적 관계
젠더와 문화
2022 .12
1910년대 『매일신보』의 여성 담론과 식민지 여성 만들기
젠더와사회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