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한국전쟁기 반공 담론과 비가시화된 반공주의
Ⅱ. 낭만적 데이트와 젠더 경계의 재편
Ⅲ. 전시 윤리와 근대적 주체의 가능성
Ⅳ. 나가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조견을 두른 모럴리스트 : 김말봉 대중소설 창작방법론 연구
현대소설연구
2017 .12
‘삐라를 든 여자들’의 냉전 -해방/전쟁기 여성작가 김말봉의 행로와 문화냉전의 젠더정치-
한민족문화연구
2019 .01
김말봉 소설 속 ‘성노동자’들
여성문학연구
2024 .08
독자로서 글 쓰는 자신을 바라보다 : 성민선, 《섬세한 보릿가루처럼》(SUN, 2020)
수필미학
2020 .12
해방/전쟁기 소설에서 재현된 여성 청년상 —김말봉의 『화려한 지옥』과 『별들의 고향』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24 .08
한국전쟁기 김말봉 소설의 이데올로기 연구-김말봉의 <별들의 고향>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2015 .01
젠더, 서사, 지도-김말봉의 초기 장편소설에 대한 ‘지도 그리기’의 시도
한국근대문학연구
2023 .04
에벤키 씨족명 접미사 분석
외국학연구
2015 .01
북한 문법의 외딴성분 연구
어문학
2022 .09
1950년대 대중소설과 ‘전후(戰後) 여성’의 부표들 - 김말봉의 『푸른날개』 (1954), 『생명』 (1957)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22 .10
전봉건 시의 리듬과 전쟁체험의 내면화 : 「6 · 25」 연작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17 .10
1950년대 전봉건의 시적 변화의 의미 ‒「銀河를 主題로 한 〈봐리아시옹〉」의 세 가지 변주‒
한국현대문학연구
2020 .04
好意伝達表現の男女差に関する考察 -告白場面に見られる発話機能を中心に-
일본문화학보
2020 .08
‘말(語)-류’ 성조형의 방언 간 대응 양상과 의의
어문학
2015 .06
The Negative Morpheme mal- as an Inherently Negative Predicate
생성문법연구
2020 .08
Text Messages and Thomas Mann.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the Kim Bong-gon Controversy
독일어문화권연구
2020 .01
17~19세기 동춘당 송준길 후손가 소장 한글편지에 나타난 가족의 모습
장서각
2017 .04
이봉창 의거에 대한 국외 한인사회의 반향
동양학
2023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