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조견을 두른 모럴리스트 : 김말봉 대중소설 창작방법론 연구
현대소설연구
2017 .12
여악을 전승한 예인으로서의 기생에 대한 왜곡에 관한 연구 Ⅱ : 기생과 공창제도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0 .06
잊혀진 자들의 투쟁 : 한국 성판매여성들의 저항의 역사
역사비평
2017 .02
해방/전쟁기 소설에서 재현된 여성 청년상 —김말봉의 『화려한 지옥』과 『별들의 고향』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24 .08
한국전쟁기 김말봉 소설에 나타난 데이트 문화와 젠더 정치학-『태양의 권속』(1952)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23 .07
거리에서 개입하기 : 광주지역 성매매 청소녀 지원활동을 중심으로
생명연구
2022 .02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성매매 여성의 재현 양상과 갱생의 의미
국어문학
2017 .11
외화와 ‘윤락’: 1970~80년대 관광기생을 둘러싼 모순적 담론
현대문학의 연구
2018 .01
‘삐라를 든 여자들’의 냉전 -해방/전쟁기 여성작가 김말봉의 행로와 문화냉전의 젠더정치-
한민족문화연구
2019 .01
김말봉의 『밀림』 재론 —아나키즘과 기독교정신 구현방식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20 .01
1920년대 『조선급만주(朝鮮及滿洲)』에 나타난 화류계 여성의 표상 - 유곽물과 여급소설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
2017 .01
‘미군 위안부’ 생존자의 역사 쓰기 ―김정자의 증언록 미군 위안부 기지촌의 숨겨진 진실을 중심으로―
사이間SAI
2024 .05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Ⅲ - 이능화에 의한‘왜곡된 기생의 정의와 분류법’ 「기생=갈보(매춘부):일패(기생), 이패(은근자?은군자), 삼패(탑앙모리)」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1 .12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연구사(史) 검토 및향후 연구과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0 .01
1950년대 대중소설과 ‘전후(戰後) 여성’의 부표들 - 김말봉의 『푸른날개』 (1954), 『생명』 (1957)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22 .10
김말봉 단편소설의 서사적 특징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015 .01
김말봉의 대중소설에 나타난 아나키즘 연구
여성문학연구
2023 .04
한국전쟁기 김말봉 소설의 이데올로기 연구-김말봉의 <별들의 고향>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