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경의 다중성 개념을 통해 본 아세안지역경제협력의 국경자유화 정책: 태국 북부 치앙라이(Chiang Rai) 국경교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019 .01
조선 반도 최초의 관광잡지『관광조선(觀光朝鮮)』연구-조선 반도 영화를 중심으로-
日本思想
2024 .08
谷口園 鄭象觀의 『史記』 애호와 그 의의 -「讀馬史」 및 南漢朝와의 왕복 서한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4 .08
1920년대 開闢社의 조선지식 수집과 조선연구 토대 구축 - ‘조선문화 기본조사’의 추진과정과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2019 .06
조선시대 조선과 명의 국경인식과 조명관계
역사문화연구
2024 .08
아세안지역시장의 출현과 국경교역 장(field)의 재편 : 태국 북부 치앙라이(Chiang Rai) 국경상인의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과 교역 실천 전략 분화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2018 .08
17세기 조선국경지역에서의 민의 유동 일고찰
역사민속학
2018 .12
Made in Border
제3시대
2018 .06
일제 말 대중 잡지에서 보이는 ‘조선’이라는 공간인식 : 『관광조선』과 『모던일본 조선판』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04
경계/국경과 국가 인식의 문제
역사연구
2019 .06
조선간행 잡지의 ‘해양성’ -『조선급만주』와 『조선공론』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0 .01
조선과 만주국 國境邊緣地帶에서의 교류․삶․통제․협력 - 신문 내용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0 .01
甲申政變 前後 淸․日의 朝鮮保護論 제기와 天津條約의 체결
역사학연구
2017 .01
반(反)중국정서와 중러 접경도시: 우수리스크, 수이펀허, 훈춘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018 .01
식민지 도시계획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와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의 위상 재검토
도시연구
2017 .04
안확의 ‘조선’ 연구와 문명의 발견
한국철학논집
2017 .02
삼국(중국, 북한, 한국)이 만나고 연결되는 단둥 : 국경도시이자 해항도시의 관점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7 .10
1930년대 제주도․한라산 기행문 고찰 -여행안내서와의 상호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2015 .01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인 시나리오 작가의 영화 활동 연구
동양학
2017 .01
일제강점기 실학자 저작의 출간과 조선학운동
역사연구
2022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