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19
1. 들어가며
2. 지역협력의 교두보, 치앙라이 국경지역
3. 태국 북부 치앙라이의 국경 신설과 국경통과 제도의 정비
4. 국경교역 장의 질서와 조정
5. 사회적 자본의 종류에 따른 국경상인의 교역 전략 분화
6. 나가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경의 다중성 개념을 통해 본 아세안지역경제협력의 국경자유화 정책: 태국 북부 치앙라이(Chiang Rai) 국경교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019 .01
개발, 일상적 이동, 비즈니스 연대를 통해 본 국경도시 치앙라이의 관계적 도시화
한국문화인류학
2020 .01
반(反)중국정서와 중러 접경도시: 우수리스크, 수이펀허, 훈춘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018 .01
경계/국경과 국가 인식의 문제
역사연구
2019 .06
삼국(중국, 북한, 한국)이 만나고 연결되는 단둥 : 국경도시이자 해항도시의 관점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7 .10
‘국경’에서 본 5~7세기 삼국의 전쟁 -築城과 戰鬪로 그어진 경계-
백산학보
2020 .01
차용구, 『국경의 역사 - 국경 경관론적 접근』 (소명출판, 2022), 253pp.
서양사론
2022 .06
Made in Border
제3시대
2018 .06
브라질-콜롬비아-페루 아마존 삼국국경지역 초국가적 마약조직범죄의 성장과 지역안보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2024 .02
식민지 조선 후기 국경기행 연구― 《관광조선(?光朝鮮)》을 중심으로 ―
일본학보
2021 .08
1985년 ‘조-소 국경조약’ 분석
동아연구
2017 .08
국경과 고전시가, 그 접점에 대한 통찰 - 최미정, 『한국고전시가와 조선시대의 국경』, 역락, 2019 -
이화어문논집
2024 .08
동아시아의 저항정치와 국경을 넘는 연대의 가능성
문화과학
2024 .12
일대일로 구상의 변경 협력 전개:중국 핑샹-베트남 동당 초국경 경제협력구를 중심으로
중국지식네트워크
2021 .01
中國과 北韓의 國境 管理實態 -1950~1960年代를 中心으로-
중국사연구
2017 .01
[On This Topic] Division, the Formation of Cold War Borders, and Border-Crossing
Korea Journal
2022 .03
북한의 경계·국경 인식과 북·중 접경지역 경비(1945~1947) - 국경경비대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21 .03
“소프트 변경” 시각으로 단동-신의주 초국경 도시 발전에 대한 새로운 접근
중국학
2017 .01
[국경을 넘는 여자(들)] 떠도는 여자아이는 무엇을 보는가
자음과모음
2021 .09
1880년대 국경회담에서 발견한간도문제의 ‘불편한’ 진실[서평] 김형종(2018), 1880년대 조선-청 공동감계와국경회담의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88쪽.
인문논총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