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인 시나리오 작가의 영화 활동 연구
동양학
2017 .01
조선영화는 어떻게 ‘반도예술영화’로 호명되었는가-<한강(漢江)>의 일본 배급을 중심으로-
사이間SAI
2016 .05
영화조선 창간호에 나타난 ‘조선영화’ 담론의 혼성성
비교한국학
2020 .01
할리우드 영화의 조선적 전유로서의 영화소설 - 잡지 『녹성』을 중심으로
비교문학
2017 .10
1940년대 식민지 조선영화 속 일본인에 관한 연구 : 극영화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18 .03
개항도시의 근대문화 유입과 형성- 부산과 상하이의 영화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19 .01
일제 말 대중 잡지에서 보이는 ‘조선’이라는 공간인식 : 『관광조선』과 『모던일본 조선판』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04
조선간행 잡지의 ‘해양성’ -『조선급만주』와 『조선공론』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0 .01
‘민족-영화’ 개념의 변천 : ‘조선영화’에서 ‘코리안시네마’까지
탐라문화
2017 .10
1960년대 문화영화 정책과 그 방향
역사연구
2020 .05
[영화를 읽다-10회] 나는 좀 살아야겠다
월간에세이
2022 .10
[영화를 읽다-19회] 굽이굽이 돌아도 멈추지 않는다
월간에세이
2023 .06
[영화를 읽다] 잘 지내고 계신가요?
월간에세이
2022 .03
[영화를 읽다] 해는 졌지만, 나는 지지 않았다
월간에세이
2022 .01
체홉과 영화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6 .10
영화를 찍다
수필미학
2016 .12
일본 영화소설의 전개 양상 - 191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
일어일문학연구
2016 .08
조선(영화계)의 현실을 반영한 텍스트로서 「반도의 봄」과 지배자의 형상
현대문학이론연구
2018 .01
일제시기 조선 ‘영화계’의 형성과 ‘영화인’의 탄생
한국사연구
2020 .03
식민지 조선 후기 국경기행 연구― 《관광조선(?光朝鮮)》을 중심으로 ―
일본학보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