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초록
1. 머리말
2. 국군의 창설
3. 한국광복군 출신의 국군 참여
4. 국군에서의 활동과 역할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방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국군 이념 재정립에 관한 고찰
정신전력연구
2024 .11
2000년도 이후 한국영화에 나타난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 스토리텔링 방식의 전변과 향유의식적 의미
한국전통문화연구
2021 .01
解放政局期 韓國光復軍豫備隊 硏究
군사
2022 .06
대통령 국군통수권의 한계 및 통제
유럽헌법연구
2018 .01
대한제국군과 육군무관학교의 민족군사(民族軍史)적 의의
한국군사학논총
2021 .12
태평양전쟁기 한국광복군과 미(美)전략첩보국(OSS) 합작의 국제적 배경 - 한국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의 앞으로의 과제 -
사회과교육
2020 .03
봉오동ㆍ청산리 독립전쟁의 군사사학적 고찰
한국군사학논총
2021 .01
6.25전쟁 국군포로 귀환 및 전사자 유해발굴 협상방안
한국보훈논총
2017 .01
최용덕(崔用德)의 항공독립운동과 광복군 내 역할
군사
2015 .06
한국군의 군인정신 함양을 위한 제언
정신전력연구
2018 .11
국군의 교전규칙 작성권한: 유엔사와 연합사의 작성권한 유무 및 범위를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2018 .01
만주사변 후, 일본의 만주국군 창설과 역할 변화 -만주국군 지도요령을 중심으로-
日本學(일본학)
2019 .01
다문화사회 정신전력 향상 방안 - 미군 다문화주의 사례 중심으로-
정신전력연구
2020 .05
[실총관련/REAL GUN] 국군 정보사령부 총기를 보다_기밀해제
월간 플래툰
2022 .11
중국 국민정부의 한국광복군 창설‧승인 연구 再考 - 중국 공문서를 통해 본 미시적 교섭 연구 -
한국학논총
2023 .02
국군교도소 재소자의 긴장이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2017 .01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rms Trade Patterns of U.S. and China using a Gravity Model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2017 .12
1951년 5월 용문산 전투 기간 국군과 유엔군의 화력 운용 고찰
군사
2022 .03
한국의 정체성과 독립운동의 계승
한국학논총
2016 .01
Emerging Classical Arms Control Approach to North Korea’s Nukes and its Perils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2023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