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1. 학병세대, 부르주아 지식인의 공산주의
2. 이중 부역의 낙인과 ‘하준수/남도부’의 상징성
3. 보광당 되살리기와 ‘비(非)-공산주의’의 실험
4. 비전향의 지조와 그 적들
5. 결론_어떤 윤리적 잣대의 감각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연안’으로 간 학병들 ; 학병세대와 코뮤니즘 : 신상초, 엄영식의 두 『탈출』에 대한 고찰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6 .08
학병세대와 군인정치의 시대 그리고 법적 정의 -이병주 문학에 나타난 원한과 법의 문제-
철학∙사상∙문화
2021 .01
학병의 기억과 서사-이병주의 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20 .04
이병주 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자기 분열 양상 연구
어문연구
2015 .01
학병의 글쓰기에 나타난 내면의식 연구 : 한운사, 이가형, 이병주의 소설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8 .09
학병의 신체와 전쟁 기억 - 『1․20 학병사기』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연구
2016 .02
공산주의 체제의 관료조직 원리와 탈공산 시대의 지속적 변형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5 .11
일제 말기 한인 학병들의 중국지역 일본군 부대 탈출과 항일 투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6 .11
이병주의 『지리산』에 나타난 여성 지식인 고찰
비평문학
2017 .06
이병주 문학에 나타난 교양주의적 세계시민주의
한국문학논총
2018 .01
1970년대 이병주의 ‘회색인 사상’과 ‘유사 파시즘’으로의 이행 연구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3
학병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정체성 연구 196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2017 .01
[문학] 문학과 인생 : 김윤식과 이병주
황해문화
2015 .06
생태적 삶과 장소, 그리고 지리산
남도문화연구
2015 .12
운명과 원한 : 조선인 학병의 세대의식과 국가
서강인문논총
2018 .08
AI 자동화 이론의 지형 : 유령노동에서 자동화된 공산주의까지
문화과학
2021 .03
智異山의 仙界 표상과 표상화 방식 연구
南冥學硏究
2019 .01
이병주 소설에 나타난 재벌 담론 연구
우리문학연구
2019 .07
[서평] 조선=한국의 사회주의·공산주의·아나키즘·사회민주주의 재조명
철학과 현실
2024 .06
지리산 5월의 꽃 수달래
월간에세이
2018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