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Ⅰ. 머리말
Ⅱ. 문인과 문인화의 연원과 특질
Ⅲ.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유교적 이상세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로렌스와 메를로 뽕띠의 세잔론
D. H. 로렌스 연구
2022 .12
繪畵를 통한 古典文學 학습, 그 효과와 의미
고전문학연구
2018 .01
朝鮮文人對‘心畵說’的接受和發展的研究
동양학
2017 .01
5세기 고구려와 북위의 고분미술의 畫稿의 전래와 적용
고구려발해연구
2019 .07
현대 한국 문인화의 단색회화 경향 연구
문화와 예술연구
2021 .12
조선 후기 미인도의 영향과 변형 : OCI 미술관 소장 8폭 병풍 《八道美人圖》를 중심으로
사학연구
2019 .03
조선후기 미인도와 일본 에도시대(江戶時代, 1603-1867) 우키요에 미인화와의 관계성 고찰
역사와 담론
2018 .10
고려 산수제화시의 전개와 특성
한국시가문화연구
2015 .01
최순우 선생의 회화사 연구
강좌 미술사
2018 .01
恭齋 尹斗緖의 畵學과 儒畵
온지논총
2015 .01
민간회화로서 민화의 가치 — 통속세계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
동방문화와 사상
2020 .01
중국 학 그림의 역사적 전개
인문학연구
2022 .09
20세기 전반 한국의 문인화 : 청강 김영기(晴江 金永基, 1911-2003)의 회화 이론과 작품 세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8 .09
중국화풍에 따른 선의 관계성 연구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21 .12
Joseon Paintings in Japan: Cultural Biography of Object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2 .12
중국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 조선후기 미인도와의 관계
숭실사학
2018 .01
정재(靜齋) 오일영(吳一英, 1890-1960)의 행적과 회화–일제 강점기의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22 .02
장대천(張大千) ‘발묵발채(潑墨潑彩) 산수화’ 연구
문화와 예술연구
2021 .12
근대일본의 선종화 창출과 그 사적 위상 ―남북종론을 중심으로―
日本學硏究
2020 .01
풍속화의 근대적 전개 : 고전의 복제와 복고적 재현
서강인문논총
2017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