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인천 정착의 배경
Ⅲ. 일제 말기 조봉암의 인천 생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연속기획] 조봉암의 생애와 사상과 정치 : 21세기 대한민국에의 한 요청
황해문화
2024 .09
한국현대사와 정체성의 문제 : 이광수, 조봉암, 김산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15 .09
메가이벤트와 도시발전 : 인천의 메가이벤트를 사례로
로컬리티 인문학
2016 .04
총론 : 3·1운동과 경기·인천지역
역사와현실
2019 .09
해방 후 통일담론의 발전과 기독교의 역할: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의 배경과 의의
한국교회사학회지
2018 .09
해방~한국전쟁기 인천 지역 월남민의 정착과 네트워크 형성
동방학지
2017 .01
일본 여행안내서와 기행문으로 본 일제강점기 인천의 관광지 연구
기전문화연구
2023 .06
베트남전쟁이 인천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연구
기전문화연구
2021 .12
인천과 한국문학
문학들
2015 .02
김기철의 통일운동 역정과 생애
대구사학
2021 .08
군수산업복합기지로서 인천육군조병창의 특징과 한국전쟁기의 전략적 위상
기전문화연구
2022 .12
3·1운동기 인천지역 시위의 양상과 특징
역사와현실
2019 .09
1910~20년대 仁川府 상수도 급수의 운영과 지역사회의 ‘府營化’ 운동
역사교육
2021 .03
1920~30년대 초 논산지역의 청년운동 -양촌면 인천청년회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0 .01
인천항의 전쟁 피해와 전후 복구사업의 전개
숭실사학
2021 .01
경기·인천 지역 3·1운동 판결과 정치적 함의
역사와현실
2019 .09
국경을 넘나드는 텍스트의 욕망― ‘김정은 시대’ 북한소설의 재외 과학자들
국제한인문학연구
2021 .08
죽산(竹山) 조봉암(曺奉岩)의 해원(解寃)을 찾아가는 여정
통일인문학
2023 .03
인천광역시에 있어서 일본어교육의 역사에 대한 연구
일어일문학연구
2015 .08
러시아에서 기록한 개항기 인천 - 『국역 한국지(KOPEИ, 韓國志)』를 중심으로 -
한국학논집
202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