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우리어문연구 제51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127 - 173 (4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국에서는 심하전투, 중국에서는 ‘사르후 전투[薩爾滸之戰]’라 부르는 1619년의 전투에 종사관으로 참전한 이민환은 전투의 전후사를 진중일기 『책중일록』에 기록하였다. 이민환은 환인현의 지리를 잘 모르는 데다 강 이름을 물어 볼 사람도 없어 이곳 육도하(六度河) 상류의 ‘깊은 물’을 심하라고 불렀다. 조선군들은 이곳 심하에서 후금군들과 소규모 전투를 벌였고, 富察 평야에서 8천 명이 전사하고 5천 명이 포로가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플롯과 배경으로 하여 조위한은 1621년 <최척전>을, 권칙은 1630년 <강로전>을, 김응원은 1659년 <김영철전>의 원작을 창작하였다. 이 작품들에 대한 문학연구는 주로 작가론, 이본 및 서지적 연구, 작품의 서사적 분석과 주제적 의미 파악, 작품의 공간에 대한 연구 등의 방향에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 팀은 ‘텍스트’를 넘어 문학작품을 공간 중심으로 사고하고 시각적 재현 위주로 탐구하는 문학지리학의 방법론을 연구방법으로 채택, 위 작품들의 서사와 의미를 공간 배경과 직접적으로 연관하여 고찰했다. 또한 서사문학, 역사지리학, 문화콘텐츠학의 연구방법론을 융합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심하전투 문학지도(the map of literature of Simha Battle)’를 제작하고, 경관 사진과 GPS 좌표 활용, 텍스트 분석 및 해석 방식을 겸하여 문학 탄생현장의 분위기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2장 ‘심하전투의 문학지도와 경관, 서사’에서는 심하전투의 노정을 전체 공간과 노정, 압록강 도강, 조명 연합군의 합류, 전투의 현장, 포로길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문학 텍스트 및 현장 답사를 통하여 현 지명과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책중일록󰡕에 기록된 지명이 현재 어느 지역인지 비정하였다. 둘째, 심하전투 노정을 따라 이동하면서 공간 배경의 분위기를 이해하고, 이러한 공간 배경이 <김영철전>, <최척전>, <강로전>의 서사와 어떻게 결합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 팀은 심하전투 서사의 현장을 수차례 답사하며 강홍립의 조선군의 노정을 파악하고 富察 평야의 전투 현장에 접근했다. 그리고 강홍립이 출전했던 시기에 맞춰 2014년 3월 말 우모령을 넘어 심하전투의 현장을 답사한 결과, 조선군이 주둔하고 전투하였던 釜山과 富察 평야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었고,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었다. 또 강홍립과 5천 조선병사들이 포로의 신분으로 넘어갔던 嘉哈嶺 고개를 넘으며 󰡔책중일록󰡕 및 소설 속에 기록된 내용을 대비하여 서술하였다. 이러한 현장 답사를 통하여 파악한 정보와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적 공간과 상상의 공간으로 남아 있던 해당지역 및 정보를 지도로 표현하였다. 또한 역사지리학 및 영상기록 콘텐츠의 시각, 문학 연구의 방법을 결합하여 공간과 노정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하고, 서사와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문학지리학적 연구를 통해서 공간과 서사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한 사례가 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