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전』은 심하전투를 비롯한 동아시아 전란을 제재로 하여 전쟁포로의 귀환 및 향방 없는 인생을 그린 17세기 소설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역사현장의 기술과 주인공의 인생변곡을 연결시키는 글쓰기, 소설의 공간과 노정에 대한 묘사, 역사 기술과 인생사 서술의 의미화 지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소설가는 역사현장을 기술하면서 주인공 김영철의 인생사를 연결시키는 글쓰기 방식을 보여주었다. 심하전투, 개주전투, 금주전투의 현장을 기술하면서 작가는 김응하의 절사와 의리, 임경업과 영남 첨방군들이 명에 대한 의리를 지켰음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전란기술의 마지막 부분에서 소설가는 명군의 지리멸렬한 모습을 그리는 한편, 청군의 막강한 힘과 질서를 서술하고, 청 태종의 포용력과 관후함을 표현하는 것으로 결말을 지었다. 소설에 설정된 명·청 교체기의 여러 전란과 사행선은 김영철에게 가족과의 기나긴 이별, 포로생활, 후금 여인 및 명나라 여인과의 결혼, 귀국과 새로운 이별, 재회 등 인생사의 결정적 변곡점으로 작용하였다. 필자는 김영철 당대의 여러 기록과 소설 내외적 증거 등을 통해 김영철이 평안도 영유현 출신이며, 1600-1684년 간 생존했으며, 심하전투 귀환포로 출신 정도가 확인되는 실존인물이라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후금 및 등주에서의 결혼, 영원성, 북경과 등주를 거쳐 사행선에 숨어 타고 조선으로 귀환했다는 점, 개주, 금주전투 출전 등은 허구가 개입되었을 가능성을 추정하였다. 그것의 명확한 근거는 기존의 역사기술 텍스트에 김영철의 개인사를 끼워넣은 부분이 발견된다는 점, 그리고 김영철의 동선에서 노정에 대한 정보나 지역 및 장소에 대한 묘사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었다. 필자는 『김영철전』의 작가가 명청 교체기에 연속된 동아시아 전란의 역사적 의미를 성찰하고, 참전군인 및 귀환포로의 삶에 문제의식을 갖게 된 것이 이 소설의 집필 동기라고 보았다. 소설가는 일련의 지식과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김영철의 삼국 행을 구상하여 조선인들의 명에 대한 의리를 표현하기도 하고, 청이 중국의 새 주인으로 서가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그러는 한편, 심하전투의 포로 출신 김영철을 모델로 하여 건주와 등주에서 결혼에 대한 아름다운 로맨스를 그려내고, 숱한 전쟁 포로, 귀환용사들이 겪었던 고단한 삶을 풀어내고, 청 태종을 등장시키는 등의 극적인 방식을 통해 그들에 대한 처우 및 보상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내었다.
Kim Young-chul Jeon is a 17th-century novel depicting the life of a prisoner of war, based on East Asian warfare, such as the Shimha battle. The novelist showed the way of writing that connects the scene of the war with the life history of the hero Kim Young-chul. Many of the wars and the ship of envoys set in the novel served as a point of life history for Kim Young-cheol, such as family separation, prison life, marriage to a Chinese woman, return home and reunion. Through various records and witnesses, I found that Kim Young-chul was from Young-yu heon, Pyeongan-do, and survived from 1600-1684, and was a prisoner returning prisoner. However, the marriage to a Chinese woman, not to Joseon, to escape to the west of China, to return home by boat, to the Gaizhou(蓋州) Battle(1640), the Jinzhou(錦州) Battle(1641) were highly likely to be fiction. Its definite grounds were that there was hardly any description of a specific area or place in the novel. I saw the writer of Kim Young-chul jeon reflect on the meaning of the East Asian War in the 17th century, and his interest in the lives of soldiers and prisoners who participated in the war was the motive for writing this novel. Based on a series of knowledge and consciousness, the novelist modeled Kim Young-chul, a prisoner of subordinate combat, to portray the beautiful romance of marriage in China, express the pain suffered by prisoners of war, and revealed a sense of the problem of compen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