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해방세대 여성의 이동과 탈주 - 박순녀의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19 .12
냉전사 연구의 궤적: 정통주의에서 담론적 전회에 이르기까지
史叢(사총)
2018 .01
냉전사 연구의 다변화: 새로운 시도들과 딜레마
역사학연구
2022 .02
분단현실과 동아시아의 사유― 한국 전후 여성소설을 중심으로 ―
일본학보
2020 .01
박순녀 소설의 이방인의식과 탈주 -월남여성지식인 작가의 소설 속 거주의 표상-
현대소설연구
2019 .06
한국 문화냉전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인문과학
2023 .05
한국적 ‘신냉전사’의 가능성: 허은(2022), 『냉전과 새마을: 동아시아 냉전의 연쇄와 분단국가체제』, 창비, 596쪽
인문논총
2022 .11
냉전과 ‘원숭이’ 표상
사이間SAI
2018 .01
냉전텍스트 《실패한 신(The God That Failed)》의 한국 번역과 수용의 냉전 정치성
대동문화연구
2022 .03
냉전의 예외와 규칙 : 냉전사를 통해 본 한국 현대사
역사비평
2015 .02
21세기 한국의 중국 고전여성문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그리고 전망
중국문학
2022 .08
냉전의 오리엔탈리즘 비판과 탈식민적 냉전 연구
시대와 철학
2024 .09
방법으로서의 ‘불온’ : 한국 문학과 역사를 읽는 하나의 시각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15 .07
냉전과 월남지식인, 냉전문화기획자 오영진 - 한국전쟁 전후 오영진의 문화 활동
민족문학사연구
2016 .01
‘삐라를 든 여자들’의 냉전 -해방/전쟁기 여성작가 김말봉의 행로와 문화냉전의 젠더정치-
한민족문화연구
2019 .01
‘신냉전’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 중국 지식인의 논의를 중심으로
중국지식네트워크
2024 .05
월남 여성 작가 박순녀의 소설 속 배회하는 여성의 표상
어문론총
2019 .01
이승만 정부 초기 자유민주주의론과 냉전담론의 확산
한국사학보
2017 .02
1950년대와 나쁜 여자의 젠더 정치학 : 강신재의 초기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20 .01
한국 현대 지성사의 존재론적 조건과 탈식민주의 비판 : 냉전-분단체제에서 탈식민화로서 지성사
통일인문학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