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냉전사 연구의 궤적: 정통주의에서 담론적 전회에 이르기까지
史叢(사총)
2018 .01
한국 문화냉전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인문과학
2023 .05
냉전사 연구의 다변화: 새로운 시도들과 딜레마
역사학연구
2022 .02
냉전의 예외와 규칙 : 냉전사를 통해 본 한국 현대사
역사비평
2015 .02
냉전과 월남지식인, 냉전문화기획자 오영진 - 한국전쟁 전후 오영진의 문화 활동
민족문학사연구
2016 .01
냉전의 오리엔탈리즘 비판과 탈식민적 냉전 연구
시대와 철학
2024 .09
한국적 ‘신냉전사’의 가능성: 허은(2022), 『냉전과 새마을: 동아시아 냉전의 연쇄와 분단국가체제』, 창비, 596쪽
인문논총
2022 .11
냉전텍스트 《실패한 신(The God That Failed)》의 한국 번역과 수용의 냉전 정치성
대동문화연구
2022 .03
사상심리전의 텍스트로서 한국전쟁 : 자유세계로의 확산과 동아시아적 귀환
역사비평
2017 .02
‘신냉전’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 중국 지식인의 논의를 중심으로
중국지식네트워크
2024 .05
독일 냉전사 연구의 관점과 주제들
역사비평
2015 .05
구식 냉전연구와 신식 냉전사 ―세르히 플로히의 『얄타』와 오드 아르네 베스타의 『냉전의 지구사』
역사비평
2021 .02
한국 현대 지성사의 존재론적 조건과 탈식민주의 비판 : 냉전-분단체제에서 탈식민화로서 지성사
통일인문학
2023 .03
‘정사’ 대 ‘비사’ - 1950년대 미국의 6·25전쟁사 연구와 냉전문화
역사비평
2020 .05
중국근현대사 연구 50년의 성과와 과제
동양사학연구
2015 .12
‘신 냉전 시대’의 중국 공부
중국어문논역총간
2020 .07
북핵, 냉전, 동아시아, 세계 : 냉전과 탈냉전, 아시아의 역사적 오늘을 살아가는 방법
황해문화
2017 .09
이승만 정부 초기 자유민주주의론과 냉전담론의 확산
한국사학보
2017 .02
냉전과 열전의 경계에서 읽는 ‘여성주의 평화운동’의 역사성과 현재성 [서평] 김태우(2021), 『냉전의 마녀들: 한국전쟁과 여성주의 평화운동』, 창비, 372쪽.
인문논총
2021 .08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냉전 공간과 모빌리티 연구 - 『겨울골짜기』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