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승현 (서울시립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교육철학학회 교육철학연구 교육철학연구 제40권 제1호
발행연도
2018.1
수록면
165 - 182 (1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들뢰즈가 독해한 니체의 영원회귀론은 생성의 선별성에 주목함으로써 오늘날 인성교육에서 강조하는 역량의문제를 재고할 수 있는 자원이 될 만하다. 영원회귀의 원천인 힘에 대한 논의는 니체에게서 차라투스트라로 상징되며 이를 바탕으로 속물 교양인을 길러내는 당대 교육을 비판하는 이론적 밑바탕이 된다. 니체의 논의를 응용한인성교육론들 또한 이 점을 우려하는바 신자유주의적 경쟁력이 아닌 참된 역량의 의미에 관한 사고로 모아지고있다. 들뢰즈가 독해한 니체의 영원회귀는 인성교육에 다음 세 가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인성교육에서 바람직한 인간상과 교육 목적의 제시이다. 그것은 환경의 총체성을 고려한 위에서 문제제기에 전력을 다하는 교양인, 창조적 사유가 가능한 인간, 능동적 생성을 일구어내는 인간상의 형성이다. 이는 더 나은 인간의 형성이라고하는 인성교육의 목적 확립을 겨냥한다. 둘째, 이러한 이념에 기반하여 인적 자본론에 토대를 둔 자기책임의 구현자, 자기를 관리하는 시민으로서의 소비자 상을 극복할 시민상을 재검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서 이념 및시민상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입시 담론에 포획된 능력의 의미를 새롭게 사유할 수 있다. 능력은 잠정적인 것, 관계론적인 것으로 날 때부터의 능력이란 사회적 환경에 따라 발현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일종의 변수로 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에서 능력의 의미를 재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4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