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다니엘라 둔카 (Technical University of Cluj-Napoca North University Centre of Baia Mare) 김상원 (국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동유럽발칸연구 동유럽발칸연구 제45권 제2호
발행연도
2021.1
수록면
109 - 139 (3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학문적 사조로서 윤리학은 선과 악, 의로움과 불의 그리고 바람직함과 바람직하지 않음을 구별하는 가치, 원칙과 도덕 및 법 등의 총체성으로 무엇이 선이고 어떻게 하는 것이 선인지를 고심하는 것이다. 즉 한 사회를 구성하는 종교, 철학, 그리고 문화에서 창출된 사회의 관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도덕적 가치와 규범의 보편성에 대한 주장은 항상 논쟁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20세기 중반에 새로운 윤리 분야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유는 규범적 윤리학이 실천적 질문에 적절한 해답을 내놓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회는 발전할수록 과학과 기술의 빠른 변화와 함께 복잡해졌다. 이 결과 다양한 문제가 사회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응용윤리학은 규범윤리학이 제시하는 내용을 실제 생활에 응용해보고 실질적 해답을 제시해보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구체적인 상황을 다루며, 분석은 특정한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즈니스 관계에서도 올바른 윤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적용된 윤리의 적절함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응용윤리학이 제시하는 것과 같이 조직의 행동 방식뿐만 아니라 의사 결정 과정의 도덕성도 고려 대상으로 삼는 것이다. 비즈니스 윤리를 설명하는 공리주의, 권리, 정의, 공동선과 같은 이론 및 분석 도구를 통해 사업주와 관리자는 직면한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비즈니스 윤리의 핵심 목표는 사회에 봉사하는 것이며 경영진은 이를 수행하기 위해 직원과 함께 공감할 수 있는 도덕적 선을 마련하는 것이다. 동시에 기업이 확립한 윤리 기준에 따른 행동은 투자자뿐만 아니라 모든 이해 관계자가 항상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해 관계자라는 용어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할 수밖에 없고, 이들과 기업 조직 간의 상호 관계 형성은 비즈니스 윤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논쟁의 대상이었던 비즈니스 윤리에서 가장 강조되는 개념은 각각의 비즈니스에 관여하고 있는 모든 사람과 사회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수행하는 기준을 세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