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崔錫鼎의 『聲音律呂唱和全數圖』와 邵雍의 『皇極經世· 聲音唱和圖』의 비교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1 .12
訓民正音 譯解 (1949, 田蒙秀․洪起文 譯註)의 訓民正音 번역과 주해에 대하여 - 訓民正音 <例義>의 번역문과 어휘 주해를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022 .12
<훈민정음 용어 사전>의 구축과 그 쟁점 -원본 『訓民正音』(1446)의 <例義>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7 .01
최석정의 ?훈민정음준황극경세사상체용지수도?와 소옹의 ?성음창화도?의 비교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1 .01
佛典 『緇門警訓』에 나타난 ‘示ㆍ視’의 詞義 考 ― ‘見ㆍ看ㆍ觀’과의 異同을 통하여
중국학
2020 .01
중국에서의 훈민정음 연구에 대한 고찰
중국조선어문
2017 .09
중국에서의 훈민정음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중국조선어문
2016 .11
석정 이정직의 《시경》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詩經日課》 三卷의 분석을 더하여
대동문화연구
2021 .09
초기 근대 이행기 국어 인식과 그 양상의 역사성 - ‘훈민정음’ 창제 관련 문헌과 ‘正音’의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학논집
2021 .03
가훈(家訓)이 있던 시절
월간에세이
2024 .12
『훈민정음(訓民正音)』〈제자해(制字解)〉 ‘정음이십팔자각상기형이제지(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에 대하여
한국어학
2020 .08
문자발전의 각도에서 본 파스파 문자[八思巴文]의 ‘訓民正音’에 대한 영향
동아시아고대학
2016 .01
崔锡鼎《训民正音准皇极经世四象体用之数图》与邵雍《声音唱和图》的比较研究
한국중어중문학 우수논문집
2022 .11
《훈민정음해례》에 반영된 조선어표기법에 대한 연구
중국조선어문
2020 .01
古 今의 譯 - 訓? 傳 注에 대한 스케치
인문언어
2021 .12
식상하면 NG!
번역하다
2023 .10
이승휴의 자료 검토-‘村居自誡文’을 중심으로-
韓國史學史學報
2022 .06
자기성찰을 위한 글쓰기: 유서
국어문학
2015 .11
김성일의 「조선국연혁고이(朝鮮國沿革考異)」와 「풍속고이(風俗考異)」에 대한 재고
열상고전연구
2019 .01
明谷 崔錫鼎, 易數로 邵康節과 소통 후 남긴 메시지 탐색 -『經世訓民正音』 坤冊 聲音篇과 『皇極經世書』 역수론 비교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