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배규리 (廈門大學)
저널정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동양학 동양학 제83호
발행연도
2021.1
수록면
1 - 24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은 ??경세훈민정음도설?? 음계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오음집운??과 ??경세훈민정음도설??의 상관관계를 먼저 정립한 후, ??오음집운??의 운모체계의 특징인 2등운의 병합, 3등운 간의 합류, 3·4등운 간의 병합이 ??경세도설??에 반영되어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두 문헌을 비교하였다. ??경세도설??과 ??오음집운??의 운부 체계를 비교한 결과, 支·脂·之운, 皆·佳운, 山·刪운, 銜·咸운, 嚴운이 ??경세도설??에서는 분립하고, ??오음집운??은 이미 위의 운들이 병합되었다. ??경세도설?? 중 2등운 중운인 山·?운, 佳·皆운 및 거성 卦·耕· 庚운, 咸·銜운이 실제 용자의 배열에서 혼용되었다. ??오음집운??의 3등운 중 支·脂·之운이 支운으로, 眞· 臻운이 眞운으로, 嚴·凡운이 凡운으로 합쳐졌는데, ??경세도설??에서는 支·脂·之운을 분립시켰으나, 실제 용자에서는 支·脂·之운이 서로 혼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세도설??은 凡韻을 嚴운에 귀속시켰으나, ??오음집운??은 嚴운을 凡운에 배열하였다. ??경세도설??에서 先운과 仙운, 鹽운과 添韻이 합류되었고, 宵· 蕭운, 靑·淸운이 각각 함께 배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세도설??의 용자 배열은 ??오음집운?? 운부 체계의 양상을 일부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경세도설??의 중성 표기음이 ??오음집운??의재구음과 다소 거리가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최석정이 자신의 언어관념과 역리적 틀에 따라 설계한중성 자모 체계를 따랐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