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序言
Ⅱ. 《皇极经世天地四象体用之数图》中所反映的崔锡鼎在音韵学方面的见解
Ⅲ. 《训民正音准皇极经世四象体用之数图》的正音图与《声音唱和图》的正音图比较
4. 《训民正音准皇极经世四象体用之数图》的正声图与邵雍《声音唱和图》的正声图比较
Ⅴ. 结论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석정의 ?훈민정음준황극경세사상체용지수도?와 소옹의 ?성음창화도?의 비교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1 .01
崔錫鼎의 『聲音律呂唱和全數圖』와 邵雍의 『皇極經世· 聲音唱和圖』의 비교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1 .12
조선시대 유배지의 글쓰기 : 정약전·정약용 형제를 중심으로
다산과 현대
2016 .12
謙齋 鄭敾, 그 名聲의 근거 검토
대동문화연구
2020 .01
중국에서의 훈민정음 연구에 대한 고찰
중국조선어문
2017 .09
중국에서의 훈민정음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중국조선어문
2016 .11
??經世訓民正音圖說??과 ??五音集韻??의 운모체계 비교
동양학
2021 .01
1713년 대구부 해동촌면 相訟과 갈등의 連鎖 - 옻골 경주 최씨 백불암 고문서의 미시사적 접근 -
동방학지
2020 .01
Text Beyond Context: Power, Discourse, and the Chŏng Kam nok in Colonial Korea
Journal of Korean Religions
2020 .01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민족문학사연구
2018 .01
<훈민정음 용어 사전>의 구축과 그 쟁점 -원본 『訓民正音』(1446)의 <例義>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7 .01
상징형식으로 본 邵雍의 元會運世
철학연구
2017 .01
최만리 등의 諺文 반대 상소와 세종의 訓民正音 제정의 역사적 맥락에 대한 재해석
한국사학보
2023 .02
A Descriptive and Statistical Analysis of Old English Compounds
영어학연구
2018 .01
번역의 정확도와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몇가지 방도
중국조선어문
2021 .01
주자학적 독법에서 본 최한기 철학의 특징
대동문화연구
2018 .01
개신 유교 변동론의 사회이론화 가능성 연구 : 위당 정인보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2017 .09
해방 전후 최남선의 역사 인식과 불함문화론
코기토
2024 .06
明谷 崔錫鼎, 易數로 邵康節과 소통 후 남긴 메시지 탐색 -『經世訓民正音』 坤冊 聲音篇과 『皇極經世書』 역수론 비교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2019 .01
다산 정약용의 畵論
다산과 현대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