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현복 (한양대학교)
저널정보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대동철학 제92권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309 - 334 (2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모리스는 그의 논문 “Descartes’ Natural Light”에서, 지성을 ‘power of conceiving’ 과 ‘power of cognition’((vis cognoscens 혹은 puissance de connaitre)으로 구분하고, 후자만을 데카르트의 자연의 빛으로 간주한다. 그는 그 근거로 철학의 원리 1부 30 항, 정신지도규칙 의 제12규칙 그리고 성찰 의 제3성찰의 몇몇 문장들을 제시한다. 그래서 이렇게 규정된 자연의 빛에 의해 인식되는 공통개념의 진리성은 애당초 데카르트적의심에서 배제되어 있고, 그는 이러한 의미에서 데카르트가 악순환에서 자유로울 것이라고 주장한다. 나는 데카르트적 악순환에 관한 그의 주장을 긍정한다. 그러나 모리스와는달리, 나는 제3성찰에서 공통개념(notiones communes)과 관련된 자연의 빛은 인식력(vis cognoscendi) 혹은 이해력(vis intelligendi)이 아니라 자연적 충동(impetus naturales)과 짝을 이루는 ‘지적 본능’이며, 데카르트는 이 본능을 제3성찰에서 신의 존재증명을 시도할 때 공통개념의 진리성의 보증자로 끌어들였다고 믿는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