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말레이시아 화교화인 사회의 형성과 발전
3. 이주의 트랜스내셔널리즘과 문화적 정체성
4. ‘天狼星詩社’의 성립을 통한 중국과 문화 상상
5. 본토의식의 발전과 문화적 정체성
6. 나오는 말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화성’모색을 위한 시도들 : 서구권 및 동남아시아 지역 화교 화인 디아스포라 연구 경향 분석
중국근현대사연구
2017 .03
중국의 화교화인 역사·교육·문화 네트워크 연구
재외한인연구
2015 .01
일본 화교·화인의 민족정체성 조사 연구
중국학
2016 .01
중국과 대만의 화교화인 교육 비교
민족연구
2015 .01
태국 화인화문 시문학의 트랜스내셔널리즘과 문화적 정체성 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
2022 .09
미시간의 사례를 통하여 본 한국화교의 미국 이주와 정착, 그리고 ‘미국한화(美國韓華)’정체성
한국문화인류학
2015 .01
동남아시아 화교 이민사 연구 -신중국 수립 이후를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2023 .03
개혁개방 시기 베트남의 화교정책에 대한 연구
중국학논총
2024 .09
Rethinking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Malaysia
Journal of Asia TEFL
2019 .01
English Language Policy and Planning in Malaysia: Issues and Outcomes
Journal of Asia TEFL
2022 .09
도쿄 화교·화인의 현지 정착 실태에 관한 연구
중국학
2021 .01
한국과 중국의 문화콘텐츠 해외진출 전략 연구 : 정부의 역할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18 .08
한국화교의 초국가주의 실천과 다중 정체성
동아인문학
2024 .09
19세기 싱가포르ㆍ말레이시아 지역의 화교조직 지도자에 관한 연구
중국학논총
2022 .12
鲁迅的遗言和Chinese Characteristics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11
말레이시아 화인디아스포라의 모국관계 연구
민족연구
2015 .01
韓國 華僑의 韓中 코드轉換 類型과 分布 - 釜山 華僑 3세를 中心으로 -
어문연구(語文硏究)
2017 .01
말레이시아 화인과 말레이인의 종족관계 조사 연구
중국학
2017 .01
21세기 북미 화인화문소설의 추세와 특징 : 초국적 이주자문학으로서 화인화문문학의 문학적 가능성
코기토
2023 .02
동남아시아 지역의 화교조직에 관한 연구 - 19세기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
중국학논총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