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법철학회 법철학연구 법철학연구 제12권 제1호
발행연도
2009.5
수록면
443 - 474 (3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One of the traditional debate on the objective existence of substantial justice and its possibility of knowledge is whether the criteria which apply to judge base of moral rights should be distributive and equalitarian one or aggregative and utilitarian one. The former stands on the utilitarianism which takes preference of community value, the latter lies at the root of comtemporary theory of human rights which emphasizes on indispensible individual human rights. Present-days theory of human rights has criticized utilitarian theory of human rights through cognizing human rights as a moral rights and developed new alternative theory which could take place of value relativism and utilitarinism which has prevailed throughout the field of ethics generation after generation. By challenging contemporary theory of human rights and utilitarianism, I will seek the methodology for ensuring objective justification of human rights and establish basis of human rights as a moral rights on the philosophy of law.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60-001264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