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창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김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박영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김양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저널정보
한국식생활문화학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30권 제5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502 - 544 (4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7)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researched a document regarding 'Pyeon (tteok)' on 25 Jong-ga ancestral ritual foods through "Jong-ga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nd food", published during 2003~2008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after about 10 years, the transmission process of the setting and recipe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2015 by directly visiting 4 Jong-ga. This research classified regions into 7 Gyeonggi, 4 Chungcheong, 2 Honam, and 12 Yeongnam, and classified hakpa, Gyeonggi, Chungcheong, Honam region into 13 Gihohakpa, Yeongnam region into 12 Yeongnamhakpa. The important analysis standard of Jong-ga ancestral ritual food was the region and hakpa, which appeared to considerably influence 'Pyeon' setting style, which represents and symbolizes family and recipe. Gihohakpa Jong-ga, which is an academic tradition that pursues practical interests, seems to highly regard practicality to adapt to changes along with the period. On the contrary, Yeongnamhakpa Jong-ga, which highly regards self-sufficiency living base and moral justification, seems to be highly conservative. Increase in Jong-ga, which utilizes mill, is the result of adaptation to the period environment such as Jongbu aging and lack of labor, etc.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9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