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17
2015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종가 제례음식 논문의 내용과 동향분석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6 .01
종가 제례음식 편(?)에 사용하는 송기(松肌)의 식용 근거와 성분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7 .01
경기지역 종가제례음식 연구 -불천위제 음식의 유형과 재료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0 .07
종가 제례음식의 적(炙)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6 .01
안동 권씨 충재 권벌 종가의 동곳떡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5 .01
朴钟鸿与韩国传统思想的现代转型
한국학논집
2020 .03
단도박 자조모임(Gamblers Anonymous) 참여 경험 및 중독 회복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생명연구
2023 .05
한국어 조사 ‘가’의 의미와 분포
언어학
2017 .12
조선시대 片箭(애기살)의 활쏘기 특성과 위상
역사와경계
2022 .08
김종삼 시의 언술 구조와 치유성에 관한 연구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8 .04
경북 지역 종가(宗家)의 다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6 .01
정석종의 조선 후기 민중운동사 연구와 의미 -『정석종, 그의 삶과 역사학』(역사비평사, 2020)을 중심으로
역사비평
2021 .08
북한 최고통치자의 상징, ‘태양’의 성격에 관한 연구 : ‘이미지의 상징화’ 개념 적용 및 종교적의미부여 평가를 중점으로
종교연구
2017 .04
이종인의 『시종통편』과 인두법의 보급
다산학
2022 .06
일본어의 「Nがない」를 통해 본 부정표현의 특징
일본연구
2018 .08
〈고공가(雇工歌)〉와 〈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에 나타난 대화체의 양상과 의미
한국학논집
2017 .12
明代 儀禮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俗祭의 성격
동아시아고대학
2021 .12
경북 종가 제례의 양상과 문화적 의미 — 불천위 제례를 중심으로 —
온지논총
2018 .01
《家禮》題主條‘讀畢懷之’에 대한 解釋과 論辨
퇴계학보
2016 .01
<찬기파랑사뇌가(讚耆婆郞詞腦歌)>의 새로운 해독과 ‘사뇌(詞腦)’의 의미
동아시아고대학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