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민정치의 흐름과 네트워크정당모델의 과제
민주주의와 인권
2016 .03
시민정치와 민주주의
한국정치학회보
2016 .12
디지털이 수식하는 시민정치와 민주주의 : 참여의 혁신에 대한 비판적 재고
경제와사회
2022 .06
독일 지방정치의 ‘탈정당정치화’ 경향 : 한국 지방정치발전에의 함의
21세기정치학회보
2015 .03
촛불집회와 좋은 거버넌스: 대의정치 개혁 과제를 중심으로
의정논총
2017 .01
코뮌 혹은 평등한 자들의 공동체
민주주의와 인권
2015 .08
‘정당 만들기’ 프로젝트 수업 이야기: 정치에 참여한다는 것의 의미
사회과수업연구
2017 .01
Youth participation in Democratic Politics: Impediments and prospects
남아시아연구
2022 .02
니체의 위대한 정치와 선한 유럽인의 세계시민적 덕성
교양학연구
2021 .01
정당 중심의 대의 민주주의와 4차 산업혁명 : 참여와 심의의 조화로운 발전 모색
한국정치학회보
2019 .12
‘민주화 이후 정치’를 넘어 ‘공감과 행복’의 정치로 : ‘87년 체제’의 한계 극복을 위한 정치적 탈주(脫走)
시민과세계
2016 .12
청년세대의 정치: 정치의 주변화인가 새로운 정치의 등장인가
사회과학연구논총
2020 .10
유권자 세대교체와 한국 정당의 미래: 탐색적 연구
미래정치연구
2019 .12
촛불의 리듬, 광장의 문화역동 : 민주주의 정치를 위한 인식적 지도 그리기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7 .02
박근혜 탄핵 촛불집회의 민주적 함의 : 숙의 민주주의와 파수꾼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18 .06
From campus to legislatures: Women’s experience of electoral politics in Indonesia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
2022 .12
광장정치와 제도정치의 보합으로서 추첨시민의회 모색
NGO연구
2017 .01
한국에서 결손민주주의의 심화와 ‘촛불’의 시민정치
시민과세계
2016 .12
변화를 향한 열망, 하지만 여전히 규율되고 있는 의식 : 2016년 촛불시위에 대한 하나의 해석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7 .02
지방정치의 중앙정치에의 예속화? 지방정치의 실제와 작동
연구방법논총
202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