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I. ‘도망자 민주주의’(fugitive democracy)와 초일상의 정치
Ⅱ. 문제제기와 이론적 틀
Ⅲ. 변화 주체로서 2016년 촛불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Ⅳ. 어떻게 헌법을 쓸 것인가?
Ⅴ. 나가는 말: 말로 하는 혁명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Korea’s Candlelight Protests in Context : Evidence from the Asian Barometer Survey and Global Events Data
평화연구
2019 .04
Candlelight Protests in South Korea : The Legacies of Authoritarianism and Democratization
사회과학연구논총
2018 .04
Beyond Continuity: The Defiance of Ordinary Citizens and the 2016 Candlelight Protests in South Korea
Korea Journal
2020 .06
2016년–2017년 박근혜 퇴진 촛불집회 참여의 결정요인
의정연구
2017 .01
촛불의 운동정치와 87년 체제의 ‘이중 전환’
경제와사회
2018 .03
Determinants of Unaffiliated Citizen Protests: The Korean Candlelight Protests of 2016?2017
Korea Journal
2019 .03
서평 촛불 이후의 정치를냉정하게 이해하기: 이몬 버틀러, 『나쁜 민주주의』(북코리아, 2012)
기억과 전망
2018 .01
촛불시위 참여자의 동학: 정치적 기회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023 .02
The Flow of the Masses and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s in South Korea
Korea Journal
2020 .09
촛불의 시민성: 시민사회를 넘어서는 시민
시민과세계
2017 .06
2016년~2017년 촛불집회의 정치적 항의 : 수도권 유권자 분석
사회과학연구
2017 .12
재외동포의 사회운동과 정치적 역동: 416자카르타촛불행동의 활동을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2019 .01
촛불의 리듬, 광장의 문화역동 : 민주주의 정치를 위한 인식적 지도 그리기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7 .02
Articulating Inequality in the Candlelight Protests of 2016?2017
Korea Journal
2019 .03
한국의 민주주의는 6월항쟁을 졸업하고 촛불혁명으로 진화한다
헌법학연구
2017 .01
유권자의 투표 선택과 2016-17년 촛불시위 참여 : 투표 참여 빈도와 투표 선택 경향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2022 .03
혁명
노동사회과학
2016 .07
2020 공천혁명!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9 .09
2020 공천혁명!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9 .09
투표와 촛불집회: 참여 요인 비교와 관계 분석
의정논총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