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문학축제의 유형화 연구
인문콘텐츠
2024 .06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가 지역축제에 미치는 영향 : 남원 춘향제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연구
2015 .02
금한동 동제의 소도천제(蘇塗天祭) 성격
강원민속학
2021 .09
한국 ‘도깨비’ 주제 축제 활성화 방안
강원민속학
2021 .03
Projecting Presence : The 20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Localities
2015 .11
재일한인의 문화공공외교에 대한 연구 – ‘사천왕사왔소’ 축제를 중심으로
로컬리티 인문학
2022 .10
五路壇作法에 대한 고찰‒ 水陸齋를 中心으로 ‒
한국불교학
2016 .01
지역특산물 축제의 활성화를 위한 문화콘텐츠전략 - 청양고추·구기자축제와 프랑스 에스플레트(Espelette)고추축제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1 .01
일본 화교·화인의 민족정체성 조사 연구
중국학
2016 .01
경북 안동 역사문화콘텐츠 기반 지역축제 무용공연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2019 .01
러시아의 민족 언어 지원 정책 분석 연구: 소련의 민족 언어 평등 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6 .01
다문화 사회의 언어환경과 민족 정체성의 관계: 다문화 소설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015 .01
일본궁중 칠석의례의 변천과 상징성
일본연구
2015 .08
Video of World Festivals as Novelties in Teaching Description Writing Using a Genre-Based Approach
Journal of Pan-Pacific Association of Applied Linguistics
2017 .07
상하이국제영화제의 글로컬적 특징과 함의: 시스템 환경과 운영활동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6 .01
백제문화제의 정체성과 도시브랜딩 - 회고와 전망을 중심으로 -
외국학연구
2020 .01
조선족 시문학에서의 민족정체성 의식
현대문학의 연구
2015 .06
Contentious Politics in the Nascent Formation of Ethnic Communities in Korea
Korea Observer
2017 .09
Ethnic Resources Reviving: The Case of the Korean Ethnic Economy in Bom Retiro, São Paulo
Korea Journal
2022 .12
중국 개혁개방 후 운남(雲南) 소수민족 소재 영화 발전의 문제점과 책략 연구
중국학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