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개요
Ⅰ. 들어가기
Ⅱ. 금한동(琴閑洞)격 동제(洞祭)의 성
Ⅲ. 금한동천제의 문화사적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문학축제의 유형화 연구
인문콘텐츠
2024 .06
달집태우기의 전통과 현대적 변화
건지인문학
2016 .01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가 지역축제에 미치는 영향 : 남원 춘향제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연구
2015 .02
Projecting Presence : The 20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Localities
2015 .11
仪式中的国家在场对中国乡村共同体重构的影响 - 基于五村播种节和尉村跑鼓车文化艺术节的比较研究-
동아인문학
2022 .09
마을 天祭의 구조와 성격
한국민속학
2019 .05
조사?연구를 기반으로 한주민주도형 마을박물관 사례연구-울산 달곡?제전마을박물관을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2021 .12
상하이국제영화제의 글로컬적 특징과 함의: 시스템 환경과 운영활동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6 .01
일본궁중 칠석의례의 변천과 상징성
일본연구
2015 .08
Video of World Festivals as Novelties in Teaching Description Writing Using a Genre-Based Approach
Journal of Pan-Pacific Association of Applied Linguistics
2017 .07
소수민족 축제의 이중적 정체성 – 윈난(雲南) 발수절(潑水節) 축제를 중심으로
도시인문학연구
2019 .01
Two Types of Egress Based on Initiation: On The Pearl, “Flight,” and The Forgotten Village
영어권문화연구
2015 .01
백제문화제의 정체성과 도시브랜딩 - 회고와 전망을 중심으로 -
외국학연구
2020 .01
한국 ‘도깨비’ 주제 축제 활성화 방안
강원민속학
2021 .03
마을목회에 대한 교회사회복지의 실천 방안 고찰
신학과 목회
2020 .06
五路壇作法에 대한 고찰‒ 水陸齋를 中心으로 ‒
한국불교학
2016 .01
19~20세기 진도 지역 거리제의 변화와 역동 – 동계(洞契) 의례로의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민속학
2022 .05
인접 마을 간의 관계성 변화
비교민속학
2021 .04
국제경기 선수촌 구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인문과학연구
2016 .01
전주국제영화제의 주제의식과 콘텐츠 변화 연구
인문콘텐츠
2016 .06
0